경제용어사전

스왑션

[swaption]

고정금리와 변동금리를 바꾸는 스와프(swap)와 일정기간 후 권리를 행사할 수 있는 옵션(option)을 합친 복합적인 계약기법. 일정기간 후 금리조건을 교환할 수 있는 권리를 사고파는 식이다. 스와프와 옵션을 ‘1차 파생상품’이라고 한다면 스왑션은 1차 파생상품에서 또 한번 파생된 ‘2차 파생상품’이라고 할 수 있다. 1억달러를 변동금리로 차입한 기업이 연 5%의 고정금리로 바꿀 수 있는 스왑션을 매입했다고 치자. 현재 시장금리를 연 4%로 가정하자. 만일 시장금리가 연 5% 이상으로 높아지면 스왑션을 행사한다. 이에 따라 기업은 시장금리가 아무리 오르더라도 연 5%의 이자만 내면 그만이다.

금리상승에 따른 이자부담 증가를 피할 수 있게 되는 셈이다. 계약 당시 연 4%였던 시장금리가 오름세를 타더라도 연 5% 밑을 유지하거나 예상과 달리 연 4% 이하로 떨어질 경우에는 스왑션을 행사할 필요가 없다. 시장금리(변동금리)대로 이자를 내면 된다. 금리상승 부담을 피하면서 하락에 따른 기회이익을 얻을 수 있는 게 바로 스왑션의 장점이다. 그러나 한번 행사한 스왑션을 원상태로 바꾸려면 적지 않은 과태료를 물어야 한다.

  • 스마트 팩토리

    제조 장비와 물류 시스템들이 인간의 개입 없이 폭넓게 자율적으로 조절되고 운용되는 공장이다...

  • 시스템 통합관리[system management, SM]

    SM은 일반적으로 고객의 정보시스템 기능을 장기 계약하에 지속적으로 관리하고 운영하는 것으...

  • 사내근로복지기금

    근로자의 복지 및 생활원조에 사용하기 위해 기업의 일부를 출연해 설립한다. 기금 설립은 법...

  • 생분해성 플라스틱[Poly Butylene Isosorbide Adipate-co-Terephthalate, PBIAT]

    삼양사가 석유에서 유래된 생분해성 플라스틱인 PBAT의 단점을 개선한 친환경 플라스틱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