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스왑션

[swaption]

고정금리와 변동금리를 바꾸는 스와프(swap)와 일정기간 후 권리를 행사할 수 있는 옵션(option)을 합친 복합적인 계약기법. 일정기간 후 금리조건을 교환할 수 있는 권리를 사고파는 식이다. 스와프와 옵션을 ‘1차 파생상품’이라고 한다면 스왑션은 1차 파생상품에서 또 한번 파생된 ‘2차 파생상품’이라고 할 수 있다. 1억달러를 변동금리로 차입한 기업이 연 5%의 고정금리로 바꿀 수 있는 스왑션을 매입했다고 치자. 현재 시장금리를 연 4%로 가정하자. 만일 시장금리가 연 5% 이상으로 높아지면 스왑션을 행사한다. 이에 따라 기업은 시장금리가 아무리 오르더라도 연 5%의 이자만 내면 그만이다.

금리상승에 따른 이자부담 증가를 피할 수 있게 되는 셈이다. 계약 당시 연 4%였던 시장금리가 오름세를 타더라도 연 5% 밑을 유지하거나 예상과 달리 연 4% 이하로 떨어질 경우에는 스왑션을 행사할 필요가 없다. 시장금리(변동금리)대로 이자를 내면 된다. 금리상승 부담을 피하면서 하락에 따른 기회이익을 얻을 수 있는 게 바로 스왑션의 장점이다. 그러나 한번 행사한 스왑션을 원상태로 바꾸려면 적지 않은 과태료를 물어야 한다.

  • 스몰 셀

    전송파워와 운용범위가 작은 소규모 무선 접속 장비로 제품 크기가 작고 저전력으로 운영돼 유...

  • 수정주가평균[adjusted stock price average]

    주식이 권리락, 무상증자, 유상증자 및 주식분할 등이 있는 경우 주가평균에 커다란 차이가 ...

  • 승수이론[theory of multiplier]

    재정지출이 몇 배나 큰 소득의 증가로 이어지는 것을 승수효과라고 부른다. 케인스는 불황에 ...

  • 순이자마진[net interest margin, NIM]

    은행 등 금융기관이 자산을 운용해 낸 수익에서 조달비용을 뺀 나머지를 운용자산 총액으로 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