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이산화탄소

[CO2]

이산화탄소(CO2)는 탄소 원자 하나와 산소 원자 두 개로 이루어진 화합물로, 대기 중에 존재하는 무색, 무취의 기체이다.

인간의 화석연료 소비 증가로 배출되는 대표적인 온실가스로, 관측 단위는 ppm(100만 분의 일)이며 대기 중에 머무르는 시간이 100~300년으로 전체 온실효과의 65%를 차지한다.

화석에너지 사용과 시멘트 생산 등 인간 활동과 동·식물의 호흡 과정, 유기물의 부패, 화산활동 등 자연활동으로 대기 중에 배출되고 식물의 광합성 작용과 해양 흡수로 배출된 양의 약 60%가 제거되고 나머지 40%는 대기 중에 남아 농도가 증가한다.

이산화탄소 농도가 증가하면 지구의 기온이 상승하여 기후 변화를 초래할 수 있으며, 이는 해수면 상승, 강수량 변화, 생태계 파괴 등 다양한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 염소의 저주[Curse of the goat]

    미국 프로야구 메이저리그의 시카고 컵스가 1945년 월드시리즈 경기에 염소를 데리고 관람하...

  • 이자소득세

    이자소득에 대해 붙는 세금. 이자소득 원천 징수의 대상이 되는 것은 예금의 이자 및...

  • 예시적 가이드라인[indicative guideline]

    2010년 10월 경주에서 개최된 주요 20개국(G20) 경주 재무장관 · 중앙은행 총재 ...

  • 유무선대체[fixed mobile substitution, FMS]

    기존 이동통신망을 통해 휴대폰으로 통화하지만 집이나 사무실과 같은 특정 장소에서는 유선전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