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하이퍼16

[HIPER16]

국내 기술로 개발한 한국형 원전연료 집합체.
내진성능 등 안전성을 높이고, 연료 손상 가능성을 낮추었다.

한국수력원자력은 하이퍼16을 2024년 8월 한울5호기에 최초로 상용장전하고 운영변경허가를 취득한 뒤, 순차적으로 OPR1000 및 APR1400 원전에 확대 적용할 계획이다.

원전연료 집합체는 한수원과 한전원자력연료(주)가 2005년 개발에 착수, 2010년 하이퍼16 기술개발을 완료했다.

이후, 2011년부터 한울6호기에 시범집합체를 장전해 성능시험을 수행하고, 2018년 상용장전 인허가를 신청했다.

2024년 3월에는 '한울5,6호기 고유 원전연료, 하이퍼16(HIPER16) 상용장전' 인허가를 취득했다.

하이퍼16은 원전 안전성 향상에 기여하는 것은 물론, 국내 기술로 개발되어 원전 해외수출 경쟁력을 높이는 데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유럽과 한국형 녹색분류체계 요건인 사고저항성핵연료의 모체가 될 예정이다.

  • 현장검사[point of care testing, POCT]

    별도의 검사실에서 검사를 진행하지 않고 환자가 있는 장소에서 진단을 수행하는 현장 검사이다...

  • 합성수지[synthetic resins]

    수지(樹脂)는 나무가 상처를 보호하거나 곤충과 균류를 죽이기위해 분비하는 탄화수소로 된 진...

  • 해외 지급보증 수수료

    해외 자회사가 현지에 공장을 짓거나 투자하기 위해 은행에서 돈을 빌릴 때 국내 본사가 지급...

  • 황금낙하산[golden parachute]

    인수 대상 기업의 임원이 인수로 인해 임기 전 사임할 경우를 대비해 거액의 퇴직금, 스톡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