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조세특례

 

일반적인 세법의 규정에서 벗어나 특정한 목적을 위해 특정한 대상에게 부여하는 세제상의 우대조치를 말한다.

조세특례에는 조세감면, 비과세, 소득공제, 세액감면, 우대세율 적용 또는 과세이연 등이 있다.

조세특례는 정부가 특정 산업이나 계층에게 세금 면제 또는 감액을 통해 지원하는 제도로 조세지출의 한 형태이다.

예산지출과 달리 조세특례제한법을 통해 비과세 또는 세금 감면 혜택을 주는 것으로 간접적인 재정지출이란 점에서 조세지출이라고도 한다. 정부는 1998년 ‘조세특례 일몰제’를 도입해 일정 기간이 지나 정책 효과가 달성되면 특례가 종료되도록 했다.

  • 전동식 파워스티어링[motor-driven power steering, MDPS]

    스티어링휠에 연결된 센서를 통해 감지된 신호가 차량의 속도 등을 고려, 알맞게 모터를 작동...

  • 중앙도시계획위원회

    광역도시계획·도시계획·토지거래계약허가구역 등 도시계획의 결정과 기타 도시계획에 관한 사항을...

  • 젤리빈[Jelly Bean]

    모바일 기기용 운영체제인 구글 안드로이드 최신 운영시스템(OS)으로 2012년 6월말 첫선...

  • 자사주 펀드

    자사주 펀드는 상장기업 등이 투신사의 수익증권을 매입하고 투신사는 이 자금으로 해당 기업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