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빈집세

[vacancy tax]

빈집세는 주택을 보유하면서 사용하지 않거나 임대하지 않은 빈집에 대해 부과하는 세금으로, 주로 부동산 시장 안정화와 집중적인 투자 유도를 목적으로 한다.

빈집세를 도입한 나라로는 영국, 캐나다 밴쿠버, 토론토, 일본 등이 있다. 영국은 2년 이상 비어 있는 집에 대해서는 지방세를 최대 300%까지 중과하고 있으며, 캐나다 밴쿠버는 2020년 1.25%에서 2021년 3%, 2022년 5%로 인상한 바 있다.

한국에서도 최근 빈집 문제가 심각해지면서 빈집세 도입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빈집세는 주택 소유자의 재산권을 침해할 수 있으며 빈집세를 부과하더라도 주택 소유자가 빈집을 매도하거나 임대하지 않을 경우, 빈집 문제를 해결하는 데 한계가 있을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빈집세를 도입할 때는 주택 소유자의 재산권을 보호하면서도 빈집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또한, 빈집세를 부과하는 기준과 방식을 명확하게 설정하고, 이를 투명하게 운영해야 한다.

  • 베이징 컨센서스[Beijing Consensus]

    중국이 주도하는 ‘권위주의 체제하 시장 경제 발전’을 일컫는 말. 정치적 자유화를 강요하지...

  • 병원학교

    병원학교는 장기 입원이나 통원 치료를 받아야 하는 학생들이 정규 학교 교육을 이어갈 수 있...

  • 부품자재 관리[Bill of Material management, BOM management]

    BOM은 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그 제품의 부품구성표를 말한다. 부품자재(BOM)관리는 완제...

  • 베이퍼웨어[vapor ware]

    소프트웨어 분야에서 아직 개발되지도 않은 가상제품을 미리 발표하는 것을 말한다. 이는 사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