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보통갭

[common gap]

일반적으로 횡보상태 또는 거래밀집국면 중에 발생하는 형태로 상향갭이 나타나도 신고가가 아니며 하향갭이 나타나도 신저가가 아닌 경우이다. . 즉 갭이 발생한 가격대에서 거래가 이루어진 상태를 말한다. 가장 자주 발생하는 갭의 형태로 곧 다시 메워지는 특징이 있다. 거래량도 보통갭이 나타날 때 일시적으로 증가하나 다음날 바로 평균적인 거래량수준으로 회복하게 된다.

  • 바이너리 CDMA

    코드분할접속방식(CDMA)을 바탕으로 복잡한 신호 파형을 이진법(Binary) 형태로 단순...

  • 바이브코딩[Vibe coding]

    직접 코드를 입력하는 대신 원하는 결과물의 느낌(바이브)을 자연어로 전달해 프로그래밍하는 ...

  • 뱅크러시[bank rush]

    은행의 지급 불능위험을 예상한 예측한 예금자가 예금을 인출하기 위해 쇄도하는 상태나, 예금...

  • 뱅가드그룹[Vanguar Group]

    월가의 투자 대가로 꼽히는 존 보글이 1974년 설립한 뮤추얼펀드 회사다. 액티브펀드(일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