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생산가능곡선

 

한 나라 경제 내의 주어진 모든 생산요소를 가장 효율적으로 투입했을 때 최대로 생산 가능한 여러 재화·서비스의 조합을 나타낸 곡선이다.

논의를 단순화하기 위해 X재와 Y재만 존재한다고 할 때, 일반적으로 생산가능곡선은 우하향하고 원점에 대해 오목한 형태다.

X재 생산량을 늘릴수록 포기해야 하는 Y재의 수량이 점차 증가하는 기회비용 체증의 법칙이 작용하기 때문이다.

생산가능곡선 자체를 오른쪽, 즉 바깥쪽으로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기술의 진보, 새로운 천연자원의 발견, 자본량의 증가, 새로운 노동력의 증가 등이 필요하다.

무제한 통화량을 늘리면 급격한 물가상승을 초래하여 오히려 한 나라 경제의 생산량이 줄어들 가능성도 높다.

  • 실리콘[silicon, Si]

    원자번호 14의 원소. 정식명칭은 규소이지만 반도체산업에서는 영어 그대로 실리콘이라는 이름...

  • 손익분기점[break-even point, BEP]

    손익분기점이란 일정 기간 수익과 비용이 꼭 같아서 이익도손실도 생기지 않는 경우의 매출액을...

  • 스틸 칼라[steel collar]

    스틸 칼라란 단순반복 작업에도 지친 기색이 없고, 사람이 하기 힘든 작업을 하는 산업용 로...

  • 스토리슈머[storysumer]

    이야기란 뜻의 스토리(Story)와 소비자라는 뜻의 컨슈머(Consumer)의 합성어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