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가계부실위험지수

[household debt risk index, HDRI]

가계의 소득과 자산을 바탕으로 채무상환능력을 측정하는 지표이다. 가계의 소득은 가구의 수입을 나타내고, 자산은 금융자산과 실물자산을 포함한다.

이 지표는 원리금상환비율(DSR)과 부채/자산비율(DTA)을 합친 것으로, DSR은 소득에 대한 채무상환부담을, DTA는 자산에 대한 채무비중을 보여준다.

가계부실위험지수는 DSR이 40%, DTA가 100%인 경우를 기준으로 100으로 정해져 있다. 이 기준보다 높은 경우 ‘위험가구’로 분류하며, 위험가구는 ‘고위험가구’, ‘고DTA가구’, ‘고DSR가구’로 나눌 수 있다. 고위험가구는 소득과 자산 모두 부족한 가구이고, 고DTA가구는 자산이 부족한 가구이고, 고DSR가구는 소득이 부족한 가구이다. 하지만 위험도가 높다고 해서 바로 채무상환에 실패한다는 뜻은 아니다.

  • 기만광고[deceptive advertising]

    기만광고란 소비자에게 사실과 다른 정보나 오해의 소지가 있는 표현을 통해 잘못된 인상을 심...

  • 감정가

    해당 경매물건에 대해 법원이 감정법인을 통해 타당한 가격을 매기는 것. 1차 경매의 최저입...

  • 기본설계[front-end engineering design, FEED]

    프로젝트 확정전 프로젝트기간, 비용, 기술사와 사업주의 요구사항을 반영한 기본설계. ...

  • 근저당권설정비율

    금융회사가 대출해주고 담보로 잡은 물건에 대해 근저당권을 설정하는 비율. 보통 대출 원금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