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가상자산 지갑

[virtual asset wallet]

블록체인 관련 자산을 넣을 수 있는 지갑.

가상자산은 가상화폐, 포인트, 게임 아이템 등 온라인 환경에서 자산으로 활용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정보와 데이터를 말한다.

가상자산 지갑은 블록체인 관련 자산을 컴퓨터나 모바일 등 하드웨어 기기에 보관하는 소프트웨어다. 비트코인 등을 외부에 따로 저장할 수 있는 하드웨어 지갑도 있지만 투자자가 가장 많이 사용하는 형태는 온라인으로 접속하는 방식이다.

온라인 상태의 지갑을 ‘핫월렛’, 오프라인 상태의 지갑은 ‘콜드월렛’으로 부르기도 한다.


핫월렛은 크게 수탁 지갑과 비수탁 지갑으로 나뉜다. 수탁 지갑은 보통 암호화폐거래소가 관리하는 방식이다. 자산 거래 시 수탁자인 암호화폐거래소에 관련 요청을 해야 한다. 비수탁 지갑은 이용자가 직접 관리하는 방식이다. 이용자가 가상자산의 통제권을 가지며 관련 책임도 져야 한다. 비수탁 지갑을 ‘셀프 커스터디(self custody)’라고도 부른다.

  • 거래성립률

    주가의 상승이나 하락과는 관계없이 거래가 성립된 종목이 증권시장에 상장된 종목수와 비교해서...

  • 구조화 투자전문회사[structured investment vechicle, SIV]

    미국의 투자은행들이 고수익 고위험의 자산에 투자하기 위해 설립한 투자전문회사다. 이들은 단...

  • 개인 네트워크[personal area network, PAN]

    사람의 신체를 통신로로 활용, 악수만 해도 상대방의 이름,전화번호,주소 등 신상정보를 자신...

  • 간판방식[Toyota production system, TPS]

    일본 도요타 자동차가 재고를 줄이기 위해 개발한 생산 관리 방식이다. 수요와 공급의 불확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