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가상자산 지갑

[virtual asset wallet]

블록체인 관련 자산을 넣을 수 있는 지갑.

가상자산은 가상화폐, 포인트, 게임 아이템 등 온라인 환경에서 자산으로 활용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정보와 데이터를 말한다.

가상자산 지갑은 블록체인 관련 자산을 컴퓨터나 모바일 등 하드웨어 기기에 보관하는 소프트웨어다. 비트코인 등을 외부에 따로 저장할 수 있는 하드웨어 지갑도 있지만 투자자가 가장 많이 사용하는 형태는 온라인으로 접속하는 방식이다.

온라인 상태의 지갑을 ‘핫월렛’, 오프라인 상태의 지갑은 ‘콜드월렛’으로 부르기도 한다.


핫월렛은 크게 수탁 지갑과 비수탁 지갑으로 나뉜다. 수탁 지갑은 보통 암호화폐거래소가 관리하는 방식이다. 자산 거래 시 수탁자인 암호화폐거래소에 관련 요청을 해야 한다. 비수탁 지갑은 이용자가 직접 관리하는 방식이다. 이용자가 가상자산의 통제권을 가지며 관련 책임도 져야 한다. 비수탁 지갑을 ‘셀프 커스터디(self custody)’라고도 부른다.

  • 기금형 퇴직연금

    퇴직연금을 특정 연금 사업자에 모두 맡기는 게 아니라 전문 위탁기관과 계약을 맺고 운용하는...

  • 기가 인터넷[giga Internet]

    기존 유선 인터넷 최대속도(100Mbps) 대비 10배 이상 빠른 인터넷. 1Gbps 이상...

  • 건강취약계층

    영유아, 어린이, 노인, 임산부, 만성질환자 등을 말한다. 영유아 및 어린이의 경우 ...

  • 고스트현상[ghost image problem]

    디스플레이에 잔상이 남아 번져보이는 현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