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선부론

[先富論, Getting Rich First)]

1985년 개혁·개방을 시도한 덩샤오핑이 제시한 국가발전 이념. 개혁개방 이후 빈곤에서 벗어나기 위해 일부 사람들이나 일부 지역이 먼저 부유해지는 것을 허용하는 것을 골자로 한다. 그 결과 중국은 ‘세계의 공장’을 넘어 미국과 패권을 겨룰 만큼 성장했다.

선부론은 부자가 된 사람이 점진적으로 사회 전체를 부유하게 한다는 낙수효과를 전제로 했지만, 그런 일은 일어나지 않았다.

2013년 집권한 시진핑은 ‘위대한 중화민족의 부흥’을 기치로 내세웠다. 그러나 경제가 가라앉으면서 청년 실업률이 15%대로 치솟고 도농격차는 더 벌어졌다. 14억 인구 중 6억 명이 월수입 1000위안(약 18만원) 미만으로 연명하는 상황이다. 이에 시진핑이 다시 들고나온 게 ‘공동부유(共同富裕)’다.

이는 표현만 바꿨을 뿐 마오쩌둥의 ‘공부론’과 같다. 민간기업과 고소득층의 부를 당이 ‘조절’하고 ‘자발적’ 기부를 통해 인민과 나누자는 것이다.

관련어

  • 스탠더드 앤드 푸어사[Standard & Poor’s Corpration, S&P]

    미국의 신용 평가회사로 미국의 무디스(Moody's), 영국의 피치(Fitch) IBCA와...

  • 세균성 이질

    시겔라균에 감염돼 생기는 수인성 감염병. 10~100개 정도의 세균만으로도 감염된다. 매년...

  • 신주인수권부사채[bond with subscription warrant, BW]

    미리 정해진 가격으로 일정액의 신주를 인수할 수 있는 권리(warrant)가 붙은 채권이다...

  • 소아다기관 염증증후군[multisystem inflammatory syndrome in children, MIS]

    온몸에 염증 반응이 일어나는 질환이다. 2020년 4월 영국과 이탈리아 등 유럽과 미국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