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선부론

[先富論, Getting Rich First)]

1985년 개혁·개방을 시도한 덩샤오핑이 제시한 국가발전 이념. 개혁개방 이후 빈곤에서 벗어나기 위해 일부 사람들이나 일부 지역이 먼저 부유해지는 것을 허용하는 것을 골자로 한다. 그 결과 중국은 ‘세계의 공장’을 넘어 미국과 패권을 겨룰 만큼 성장했다.

선부론은 부자가 된 사람이 점진적으로 사회 전체를 부유하게 한다는 낙수효과를 전제로 했지만, 그런 일은 일어나지 않았다.

2013년 집권한 시진핑은 ‘위대한 중화민족의 부흥’을 기치로 내세웠다. 그러나 경제가 가라앉으면서 청년 실업률이 15%대로 치솟고 도농격차는 더 벌어졌다. 14억 인구 중 6억 명이 월수입 1000위안(약 18만원) 미만으로 연명하는 상황이다. 이에 시진핑이 다시 들고나온 게 ‘공동부유(共同富裕)’다.

이는 표현만 바꿨을 뿐 마오쩌둥의 ‘공부론’과 같다. 민간기업과 고소득층의 부를 당이 ‘조절’하고 ‘자발적’ 기부를 통해 인민과 나누자는 것이다.

관련어

  • 신주[new share, new stock]

    신주는 기업이 증자나 합병 등으로 새로 발행한 주식으로 아직 결산기를 지나지 않은 주식을 ...

  • 신질생산력[新质生产力, New Quality Productive Forces]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2023년 9월 헤이룽장성 시찰 중 처음 언급한 개념으로, 첨단 기...

  • 식품위해요소 중점관리기준[Hazard Analysis Critical Control Points, HACCP]

    식품의 원료관리에서 제조, 가공 및 유통에 이르기 까지 최종 소비자가 섭취하기 전까지의 각...

  • 시간제근로자[part-timer]

    근로시간이 짧은 비상근 파트타임 근로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