희생비율
[sacrifice ration]물가 상승률을 낮출 때 경기가 얼마나 침체될지를 나타낸 것.
물가 상승률이 1%포인트 낮아질 때 국내총생산(GDP)이 얼마나 감소하는가를 나타나는데 실질GDP 감소율을 인플레이션 하락율로 나누어 구한다.
대한상공회의소가 1991년 3분기~1995년 3분기, 2004년 3분기~2006년 4분기, 2011년 3분기~2013년 1분기 등 물가 상승률이 낮았던 세 시기를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한국의 희생 비율은 평균 0.96으로 나타났다. 현재 5%대인 물가 상승률을 한은 목표치인 2%로 낮춘다면 GDP가 3% 가까이 줄어들 것이라는 얘기다.
한은 계산은 조금 다르다. 이 총재는 “기준금리 2.5%포인트 인상이 물가 상승률을 1%포인트 정도 낮추고, 기준금리 0.5%포인트 인상은 경제성장률을 0.1%포인트 전후로 낮출 것”이라고 말했다. 이 발언을 토대로 계산해 보면 희생 비율은 0.5가 된다. 물가 상승률이 1%포인트 낮아질 때 GDP는 0.5% 감소한다는 뜻이다.
-
한반도대운하사업
경부운하(문경새재 부근 해발 140m에서 20.5㎞의 터널을 뚫어 한강과 낙동강을 연결하는...
-
한미안보정책구상[Security Policy Initiative, SPI]
한 · 미 동맹비전연구를 비롯 포괄적 안보상황평가, 주한 미군재배치, 연합전력증강, 한미 ...
-
환구시보[環球時報, Global Times]
중국 공산당 기관지 인민일보가 발행하는 일간신문. 인민일보가 1993년 1월 `한구...
-
항구적 정상무역관계[Permanent Normal Trade Relations, PNTR]
PNTR은 미국 의회가 제정한 법률적 개념으로, 특정 국가와의 정상적인 무역관계를 매년 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