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지급준비제도

 

금융회사가 예금 등의 일정 비율에 해당하는 금액을 중앙은행에 예치하도록 하는 제도다. 한국은행의 통화 정책 수단 중 하나로, 공개 시장 운영, 여·수신제도와 지급준비제도가 있다.

한국은행이 펴낸 ‘경제 금융 용어’에 따르면 금융회사가 고객의 지급 요구에 응하기 위해 미리 준비해 놓은 자산을 ‘지급준비금’이라고 한다. 또 적립 대상 채무 대비 지금 준비율의 비율은 ‘지급준비율’이다. 금융회사는 예금 종류마다 차등화된 지급준비율에 해당하는 금액을 지급준비금으로 보유해야 한다. 장기주택마련저축은 0.0%, 기타 예금은 7%에 달한다.

1863년 미국에서는 예금자 보호를 위해 법정 지급준비금을 부과하면서 지급준비제도가 시작됐다. 금융회사는 고객으로부터 예금을 받아 여러 형태의 자산을 운용한다. 만약 지급준비금이 없다면 예금자가 돈을 인출할 때 지급할 수 있는 돈이 없을 것이다. 왜냐하면 금융회사는 수익을 최대화하기 위해 현금과 같은 유동성 자금을 적게 보유하고 싶기 때문이다.

이러한 상황을 막기 위해 금융회사가 고객의 예금 인출 요구에 응하도록 최소한의 유동성 자산을 보유하도록 마련한 것이 지급준비제도다. 고객의 불안감을 해소하고 금융 시장의 안전을 위한 것이다.

  • 중소기업 업황 건강도지수[Small Business Health Index, SBHI]

    중소제조업의 경기전반을 예측하는 지수로 중소기업진흥회가 2002년 5월 이후부터 조사, ...

  • 주택금융신용보증기금

    서민의 주택구입시 신용을 보증함으로써 대출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설치된 기금으...

  • 장기주택마련저축

    주택의 실수요자에게 금융세제상의 지원을 강화함으로써 무주택자의 내집 마련과 주거환경의 개선...

  • 제1국민역

    병역 종류의 하나로, 병역의무자로서 현역 · 예비역 · 보충역 또는 제2국민역이 아닌 사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