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코노미
[Meconomy]내가 주체가 되는 다양한 경제활동을 뜻한다. 나를 뜻하는 "Me"와 경제를 뜻하는 "economy"의 합성어이다.
미코노미는 2010년대만 하더라도 ‘이유 불문하고 나를 위해 아낌없이 쓰는 소비행위’를 의미하는 단어로 사용됐다. 2030세대가 소득 수준을 생각지 않고 값비싼 명품이나 수입차를 사들이는 게 전형인 것처럼 인식됐다.
하지만 이런 개념은 코로나19 사태를 거치면서 변화했다. 단순히 펑펑 쓰기보다 ‘나에게 가치 있는 소비에 적극적으로 지갑을 연다’는 뜻으로 바뀌었다.
반대로 ‘의미 없는 소비는 아무리 값이 싸도 하지 않는다’는 움직임도 있다. 2022년 3월 코로나19 확산을 계기로 중국이 주요 도시를 봉쇄하자 러시아산 대게가 한국으로 쏟아져 들어왔다. 그 결과 2022년 3월 말~4월 초 ‘반값 대게’가 속출했다.
이때 상당수 소비자는 대게 파티를 즐겼지만, 한편에선 2030을 중심으로 불매운동이 벌어지기도 했다. “러시아 대게를 먹는 건 우크라이나 전쟁 자금을 대는 것과 같은 일”이라는 이유에서다.
-
미·중 무역전쟁으로 주목받는 희토류
미국과 중국의 무역전쟁이 격화되면서 희토류가 주목받고 있다. 2019년 5월 미국이 중국산...
-
마피아 채권
이탈리아 마피아 등 범죄조직의 유령회사들이 발행한 채권. 2020년 7월 8일 파이낸...
-
무자료거래
말 그대로 자료 없이 상거래를 하는 행위를 말한다. 여기서 자료란 세금계산서를 의미하며, ...
-
맥어드레스[MAC address]
통신을 위해 랜카드 등에 부여된 일종의 주소다. MAC는 미디어 액세스 컨트롤(media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