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예금자보호한도

 

금융기관 파산 시 예금보험공사가 예금자에게 보장해주는 제도이다.

2024년 11월 25일, 국회 정무위원회가 예금자보호한도를 5천만 원에서 1억 원으로 상향하는 내용을 담은 예금자보호법 개정안을 의결했다.

이번 변화는 최근 금융 위기와 경제 성장에 따른 자산 규모 증가를 반영한 것이다.

예금자보호한도는 은행, 보험사, 저축은행, 증권사 등 대부분의 금융사에 적용되며, 특히 저축은행 예금자에게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금융당국은 보호 한도 상향에 대해 공감하면서도, 은행보다 높은 금리를 제공하는 저축은행과 같은 2금융권으로 자금이 쏠릴 수 있다는 우려를 나타냈다.

이번 개정안은 시행 즉시 적용될 예정이며, 상호금융업권에서도 동일한 보호 한도가 적용될 것으로 보인다.

예금자들은 이번 변화로 인해 금융기관 파산에 대한 불안감을 덜고, 보다 안전하게 자산을 관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이잔이싱 프로젝트[一站一星]

    중국이 2018년 11월 11일 광군제(光棍節·독신자의 날)에 전자상거래 전용 미니 우주정...

  • 아프간 이슬람 통신[Afghan Islamic Press, AIP]

    소련의 아프가니스탄 침공 때 파키스탄에 설립된 민영통신사로 아프가니스탄 뉴스를 전문적으로 ...

  • 에코부머[echo-boomer]

    1980-1994년에 태어난 미국 베이비붐 세대(1946~1964년생)의 자녀를 일컫는 말...

  • ​온라인 플랫폼 공정화법[Online Platform Fairness Act, 온플법]

    온라인 플랫폼 공정화법은 대형 플랫폼 기업의 불공정 거래를 규제하고 입점업체 및 소비자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