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열분해유

 

폐플라스틱에서 추출하는 재생 연료로 새 플라스틱을 생산하는 연료로 사용할 수 있다

과자 봉지나 즉석밥 비닐 뚜껑 등 폐플라스틱(복합재질의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을 열로 분해한 뒤 가장 초기 원료인 납사를 추출해 다시 석유화학 공정에 넣는 방식이다.

한편, 기존 열분해유 공장과 달리 수증기로 폐플라스틱을 찌는 방식을 활용하면 더 많은 양의 열분해유를 뽑아낼 수 있는데 이을 초임계 열분해 기술이라 한다. 임계점 이상 고온·고압의 초임계 수증기로 폐플라스틱을 분해하는 방식인데 이때는 직접 열을 가하지 않아 탄소 덩어리(그을림) 생성을 억제할 수 있다.

관련어

  • 에너지탄소집약도

    에너지소비량에 대한 탄소배출량 비율

  • 이머징 마켓[emerging market]

    개발도상국 가운데 상대적으로 경제성장률이 높고 산업화가 빨리 진전되고 있는 나라의 증시를 ...

  • 우는 천사[weeping angel]

    미국의 중앙정보부가(CIA)가 삼성전자의 스마트 TV를 해킹하는데 사용한 것으로 추정되는...

  • 온라인 전기자동차[On-Line Electric Vehicle, OLEV]

    무선으로 전력을 공급받아 운행하는 차량을 말한다. 일반도로에 전선을 매설하고 차량 아래쪽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