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초소형위성

 

군집 운용으로 광역 관측, 통신 임무 등을 수행하는 100㎏ 이하 위성을 두루 말한다. 민간이 우주개발을 주도하는 ‘뉴스페이스’ 시대를 맞아 수요가 늘고 있다.

큐브위성, 나노위성, 피코·펨토 위성 등이 포함된다. 특히 초소형 군집위성은 다수의 위성을 군집화하여 상대적으로 저렴한 비용으로 지구를 관측하고 정보를 수집할 수 있어, 기존 대형 위성과는 다른 특성을 가지고 있다


정부는 이러한 초소형위성을 활용하여 한반도와 주변 해역의 위기 상황을 감시하고, 해양 안보, 치안, 재난 위협에 대비하는데 활용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2024년부터 2030년까지 1조 4223억원을 투입하여 초소형위성 체계를 개발할 예정이다. 이 사업은 국방부, 방위사업청,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해양경찰청, 국가정보원 등 다부처 협력으로 추진됩니다. 초소형위성은 광학 위성과 합성개구레이더 (SAR) 위성으로 구성되며, 이를 통해 한반도 지역을 촘촘하게 감시할 계획이.

또한, 초소형위성은 민간 기업들도 주목하고 있다. 예를 들어, 일론 머스크의 스페이스X는 위성 통신 기술 검증용 초소형위성 14기를 발사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저궤도에서 끊김 없는 6G 통신 서비스가 가능한지 확인하고, 지상국 없이 위성 간 데이터를 주고받는 기술을 시험할 예정이다.

또한, 우주 전파환경 관측망을 구성할 초소형위성 22기도 2028년까지 발사할 계획이며, 태양 활동에 의한 전리층 상태와 자기권 밀도를 측정하고 분석하는 용도로 활용될 것으로 보인다.

관련어

  • 창어 6호

    중국이 6번 째로 발사한 달 탐사선. 창어 6호에는 파노라마 카메라, 레이저 측정...

  • 처녀생식

    핵이 제거되지 않은 난자가 전기충격을 받을 경우 정자가 들어온 것으로 착각해 마치 수정이 ...

  • 차이나 디스카운트[China discount]

    국내 증시에 상장한 중국 기업들의 가치를 국내 기업에 비해 낮게 평가하는 현상을 말한다. ...

  • 초전도한류기[superconducting fault current limiter, SFC]

    초전도 현상을 이용하여 평소에는 전력계통에 아무런 영향을 주지 않다가 단락(합선)이나 낙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