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열돔 현상

[heat dome]

상공의 고기압이 뜨거운 공기를 밀어 내려와 돔 형태를 만들고 지면에 열을 가두는 현상을 뜻한다.

이로 인해 지표면의 공기가 빠져나가지 못하고 더워지며, 마치 돔구장 안에 뜨거운 공기가 가득 차 찜통이 된 것과 같은 상태가 된다.

대기가 정체되면서 낮에 햇볕에 달궈진 공기가 빠져나가지 못하게 되며, 그 결과로 폭염이 발생한다.

이러한 현상은 일정 위치에 오래 머물며 몇 주에 걸쳐 지속할 수 있고, 예년보다 5~10도 이상 기온이 올라간다.

어디서나 발생할 수 있지만, 특히 식생이나 토양 수분이 적은 대도시에서 발생할 위험이 크고, 공기가 정체되면서 대기 질이 악화하는 문제도 발생한다.

그동안 한반도에서 기록된 역대급 폭염 역시 이 열돔 때문이었다.

1994년 7월 한 달간의 폭염, 2016년 가장 늦은 기간까지 이어진 무더위, 그리고 2018년 40도에 육박하던 사상 최악의 폭염도 모두 열돔 때문이었다.

  • 여객전무

    열차 내 서비스를 총괄하고 출입문 개폐, 승차권 확인, 열차 내 질서 유지 등의 업무를 수...

  • 인적 자원[human resources]

    조직체에서 이용가능한 인적 집단. 어느 조직에서나 가장 중요한 자원은 인적 자원이다. 인적...

  • 일반거래시세

    매도자 시세와 매수자 시세간의 차이가 좁혀져 실재 계약으로 이행될 수 있는 시세를 말한다.

  • 월말효과

    대부분 봉급생활자들의 급여일이 20일 이후에 몰려 있다 보니 적립식펀드로의 자금유입도 월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