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액티브 ETF

[active ETF]

성장주를 적극적으로 공략해 패시브형 ETF보다 초과수익을 얻도록 설계된 ETF.

ETF는 정해진 지수의 구성 종목을 그대로 따라가도록 한 펀드로 거래소에 상장에 편리하게 거래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추종하는 인덱스를 따르도록 하는 ‘패시브’형이 기본이다.

액티브 ETF는 액티브펀드와 ETF 속성을 모두 갖춘 상품이다. 기초지수를 그대로 따라가는 패시브 ETF와 달리 펀드매니저가 투자 종목과 비중을 조정한다. 기초지수를 70%가량 추종하면서 나머지 30% 범위에서 펀드 매니저 재량으로 추가 수익을 올리도록 되어 있다.

액티브 ETF는 일반 펀드와 달리 매일 투자 종목이 공개돼 투명성이 보장되고 수수료가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다.

다만 액티브 ETF는 대다수가 테마형에 집중돼 있는 만큼 ‘몰빵 투자’는 자제할 필요가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조언이다.

미국에서는 채권형 액티브 ETF가 먼저 출시됐고 이후 주식형 액티브 ETF도 등장했다. 2020년 미국 자산운용사인 아크인베스트먼트사는 성장주를 적극적으로 매매하는 `액티브 ETF'를 발매했으며 이들 중 일부는 100%가 넘는 수익률을 기록하면서 시장의 관심을 끌었다.

2022년 5월 현재 우리나라에도 채권형 액티브 ETF와 주식형 액티브 ETF가 존재한다.

  • 연료비 연동제

    유가 등락에 따라 전기요금을 조정하는 제도. 정부와 한국은행이 2020년 12월 17일...

  • 인플레이션 갭[inflation gap]

    경제의 움직임을 분석하여 인플레이션 요인이 디플레이션 요인보다 많은 경우다. 경제가 완전고...

  • 일반공모증자

    기존주주의 신주인수권을 배제하고 불특정다수인을 상대로 유상증자하는 것. 상장 및 등록법인은...

  • 아이스레이크[Ice Lake]

    인텔이 2019년 공개한 10나노 공정 기반의 10세대 코어프로세서. 한국에선 10월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