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안구건조증

 

안구 표면의 눈물이 지나치게 빨리 증발하거나 눈물이 부족해 눈이 눈이 뻑뻑해지고 피로해지는 증상.

꽃가루, 미세먼지 등이 안구 표면에 있는 눈물을 더 빨리 마르게 해 봄철 안구건조증이 자주 나타나곤 한다. 비염을 앓고 있는 환자는 알레르기성 결막염이 동시에 발생할 수도 있다. 눈이 빨갛게 충혈되고 끈적끈적한 분비물이 나온다. 눈이 가렵다고 비비면 눈이 붓고 흰자가 부풀어 오르기도 한다.

증상이 아직 심하지 않다면 인공눈물을 수시로 활용하는 것이 좋다. 안구가 건조하거나 이물질이 들어가 따끔거리는 느낌이 들 때마다 인공눈물을 넣으면 증상을 완화할 수 있다. 인공눈물을 넣을 때는 1회에 한 방울만 넣는 것이 원칙이다. 한꺼번에 여러 방울을 넣으면 몸에서 자연스럽게 분비되는 눈물 안의 면역성분, 영양분까지 빠져나갈 수 있다. 눈꺼풀 바깥 피부에 약 성분이 쌓이면 피부염이 발생할 가능성도 높아진다. 콘택트렌즈를 끼고 있거나 안구건조증·알레르기 반응이 심하면 보존제가 포함된 인공눈물은 피하고, 일회용 인공눈물을 쓰는 것이 좋다. 보존제 성분이 알레르기 반응을 더 악화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급하다고 인공눈물 대신 식염수나 수돗물을 눈에 넣으면 안 된다. 오히려 안구 표면을 더 건조하게 만든다.

증상이 계속되면 병원을 찾아 정확한 원인을 확인해야 한다. 안구건조증과 결막염을 방치하면 각막상피가 벗겨지거나 각막궤양으로 악화돼 시력 손상까지 이어질 수 있다. 안구건조증이 심하다면 ‘마이봄샘 진단’을 받아볼 필요가 있다. 마이봄샘은 눈꺼풀 주변에 있는 기름샘이다. 눈물의 필수 성분인 기름층을 생성한다. 마이봄샘이 줄어들면 눈물이 평소보다 빨리 말라 안구건조증을 악화할 수 있다. 눈물 분비가 줄어든 원인이 될 수도 있다. 눈꺼풀 테두리에 뭉쳐 있는 피지선으로 인한 염증이라면 IPL 레이저 치료를 통해 치료할 수 있다.

  • 연구과제중심운영방식[project-based system, PBS]

    출연연구기관 연구사업비의 편성이나 배분, 수주, 관리 등 제반 시스템을 과제 중심으로 운영...

  • 이중통화채[dual currency bond]

    국제간의 환율과 금리전망을 바탕으로 기채통화와 상환통화를 달리하여 발행되는 채권. 기채는 ...

  • 엔딩산업[ending industry]

    생전에 죽음을 능동적으로 준비하는데 관련된 산업. 상속 관련 법률 상담, 장례 내용과 규모...

  • 예상가 관여

    동시호가 접수시간대에 예상체결가격 또는 예상체결수량의 형성에 관여하는 호가를 제출하여 시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