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청색 수소

 

생산 과정에서 나온 탄소를 포집·저장해 탄소 배출량을 줄인 수소에너지. 탈황 설비에 활용되거나 차량·발전용 연료로 판매된다.

한편, 녹색(그린)수소는 재생에너지를 이용해 물을 전기분해해서 얻는 수소에너지로 생산 과정에서 이산화탄소가 거의 나오지 않는다. 기존 세계 수소에너지의 약 50%는 천연가스를 고온·고압에서 분해해 얻는 회색수소(그레이수소)로 탄소배출량이 높은 편이다.

현대오일뱅크는 세계 최대 석유기업인 사우디아라비아의 아람코와 수소 프로젝트를 전개한다. 아람코로부터 액화석유가스(LPG)를 수입한 뒤 수소생산 설비에서 청색 수소를 생산할 계획이다.

  • 초점집단면접조사[Focus Group Interview, FGI]

    특정 제품이나 제도 등에 관심 있는 이해당사자 중 6∼12명 정도의 소수 인원을 선발, 한...

  • 초전도 한류기[Superconducting Fault Current Limiter, SFCL]

    낙뢰나 합선, 단선 등으로 인해 발생하는 과잉전류를 0.1밀리초(1밀초=1000분의 1초)...

  • 초자동화[hyper-automatio]

    공장 내 모든 작업을 자동화해 초(秒)단위 스피드로 생산하는 체제. 가이젠(개선)의 국가...

  • 추적원칙[tracing test principle]

    롤다운원칙에서와 같이 중간투입재가 원산지규정을 충족하지 못하는 경우, 투입된재료 전체 가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