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온실가스 배출부채

 

기업이 탄소배출 할당량을 초과해 탄소를 배출하는 기업은 시장에서 탄소배출권을 구매해야 하는데 탄소배출권을 구매하는 데 든 비용과 구매해야하는 배출권의 예상비용의 합이 배출부채다.

정부는 2015년 탄소배출권 거래제를 도입하면서 각 기업에 탄소배출권을 무상할당했다.

기업 중에선 현대제철의 2020년 배출부채가 1,521억 원으로 가장 많았다. 2020년 영업이익(730억 원)의 두 배가 넘는다. 삼성전자(318억 원) 및 포스코(202억원)의 규모도 작지 않다.

전문가들은 2021년부터는 한층 강화된 탄소배출권 거래제가 시행되면서 배출부채를 추가로 반영하는 기업이 증가할 것으로 보고 있다.

  • 어닝시즌[earning season]

    기업들이 분기별, 또는 반기별 실적을 발표하는 시기를 일컫는다. 기업들은 1년에 네 차례 ...

  • 아비커스[Avikus]

    HD현대의 자회사로 자율운항 선박 전문회사이다. 현대중공업 사내벤처 1호로 2020년...

  • 올신얼라이언스[AllSeen Alliance]

    2013년 12월 리눅스 재단이 사물인터넷 확산을 위해 설립한 범산업 컨소시엄. 이 연합은...

  • 음봉

    주식의 종가가 시가보다 낮게 끝나는 것을 말한다. 장 시작은 강세로 시작됐으나 매도세가 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