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온실가스 배출부채

 

기업이 탄소배출 할당량을 초과해 탄소를 배출하는 기업은 시장에서 탄소배출권을 구매해야 하는데 탄소배출권을 구매하는 데 든 비용과 구매해야하는 배출권의 예상비용의 합이 배출부채다.

정부는 2015년 탄소배출권 거래제를 도입하면서 각 기업에 탄소배출권을 무상할당했다.

기업 중에선 현대제철의 2020년 배출부채가 1,521억 원으로 가장 많았다. 2020년 영업이익(730억 원)의 두 배가 넘는다. 삼성전자(318억 원) 및 포스코(202억원)의 규모도 작지 않다.

전문가들은 2021년부터는 한층 강화된 탄소배출권 거래제가 시행되면서 배출부채를 추가로 반영하는 기업이 증가할 것으로 보고 있다.

  • 어음[bill]

    상품구매시 구매자가 발행하는 일정한 시기에 일정한 장소에서 일정 금액을 지급하겠다는 일정 ...

  • 의제매입세액공제제도

    사업자가 농ㆍ축ㆍ수산물 등 부가가치세가 면제되는 재화를 매입해 제조ㆍ가공ㆍ판매할 경우 부가...

  • 유토리 세대[ゆとり]

    유토리세대는 1987에서 2004년 일본에서 태어나고 자란 세대. 우리나라 말로 여...

  • 앱세서리[appcessory]

    ‘앱(app)’과 ‘액세서리(accessory)를 합친 용어로 특정 앱과 스마트폰 액세서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