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실가스 배출부채
기업이 탄소배출 할당량을 초과해 탄소를 배출하는 기업은 시장에서 탄소배출권을 구매해야 하는데 탄소배출권을 구매하는 데 든 비용과 구매해야하는 배출권의 예상비용의 합이 배출부채다.
정부는 2015년 탄소배출권 거래제를 도입하면서 각 기업에 탄소배출권을 무상할당했다.
기업 중에선 현대제철의 2020년 배출부채가 1,521억 원으로 가장 많았다. 2020년 영업이익(730억 원)의 두 배가 넘는다. 삼성전자(318억 원) 및 포스코(202억원)의 규모도 작지 않다.
전문가들은 2021년부터는 한층 강화된 탄소배출권 거래제가 시행되면서 배출부채를 추가로 반영하는 기업이 증가할 것으로 보고 있다.
-
업스트림[upstream]
석유화학 분야에서 원유 탐사와 생산을 하는 단계까지를 말한다. 업스트림 다음 단계로 원...
-
영업용 순자본 비율
자금의 조달 및 운용에 있어 증권사들이 어느 정도 재무건전성을 확보하고 있는가를 비교 평가...
-
의료수가[醫療酬價]
의료수가는 의료 서비스 제공에 따른 대가를 정의하는 금액으로, 병원의 인건비, 재료 원가,...
-
우회상장[backdoor listing]
장외기업이 상장심사나 공모주 청약 등의 절차를 밟지 않고 상장기업과의 합병, 포괄적 주식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