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국민행복지수

 

민간 경제연구기관인 국가미래연구원이 국민들의 행복정도를 △경제성과 및 지속 가능성 △삶의 질 △경제사회 안정 및 안전 등 3개 부문의 34개 항목을 가중평균해서 산출해 내는 지수.

34개 항목에는 주거지수(주택가격상승률-임금상승률)와 1인당 소비지출·가계부채, 고용률 등이 포함된다. 지수 작성을 시작한 2003년 1분기를 100으로 기준 삼고 있다.

국민행복지수는 2019년 4분기만 해도 113.95에 이르렀다. 하지만 2020년 1분기 106.26, 2분기 92.5, 3분기 74.41로 하락하더니 4분기엔 50선까지 떨어졌다.

국가미래연구원은 “최근 지수가 크게 떨어진 데는 주택가격 급등에 따른 주거지수 악화 영향이 가장 컸다”고 설명했다. 국민은행의 주택가격동향 통계에 따르면 2020년 주택매매가격은 2019년보다 8.4% 상승했다. 2006년(11.6%) 이후 14년 만에 가장 큰 상승폭이다. 코로나19 여파로 소득은 쪼그라드는데 집값만 크게 오르면서 서민의 경제적 부담이 가중됐을 뿐 아니라 경기 침체로 1인당 실질최종소비, 가계 교육비 지출, 가계 오락비 등이 감소한 것도 행복지수 하락에 영향을 줬다.

2017년 2분기부터 2020년 4분기까지, 문재인 정부 재임기간 평균 국민행복지수는 107.13으로 집계됐다. 박근혜 정부(2013년 1분기~2017년 1분기) 평균 146.67보다 30포인트 이상 낮아진 것이다. 노무현 정부(2003년 1분기~2007년 4분기)는 91.51, 이명박 정부(2008년 1분기~2012년 4분기)는 120.51이었다.

  • 그리드 컴퓨팅[grid computing]

    서로 떨어져 있는 컴퓨터 자원을 동시에 이용하는 것을 말한다. 대개 많은 량의 데이터를 처...

  • 기술자산 신탁

    기술자산의 관리나 처분을 신탁회사에 맡기고 신탁회사는 위임 받은 기술자산을 이용하거나 처분...

  • 국민주택채권

    주택도시기금법에 따라 부동산을 산 사람이 소유권 이전 등기를 할 때 부동산 시가표준액의 일...

  • 기축통화[key currency, vehicle currency]

    국제 무역거래나 금융거래에서 결제 수단으로 이용되는 기본통화. 통상 미국 달러, 유럽연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