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좌초자산

[stranded assets]

기후변화 등 환경의 변화로 자산가치가 떨어져 상각되거나 부채로 전환되는 자산을 의미한다.

화석연료에 기반을 둔 정유, 석유화학, 조선, 자동차 산업과 온실가스 대량 배출 산업인 철강, 시멘트, 플라스틱 산업이 이 범주에 속한다.
이런 산업이 보유한 자원의 매장량이나 시설은 급속히 가치가 줄어들 것이란 의미에서 ‘좌초자산’(stranded asset)이라 불린다.

국제에너지기구(IEA)는 좌초자산을 “이미 투자되었으나 수명이 다하기 전에 더이상 수익을 못내는 자산”으로 정의한다.

  • 중간광고[commercial break]

    방송프로그램 중간에 나오는 광고. 케이블TV 위성방송 등 유료방송에는 이미 중간광고가 허용...

  • 전신검색기[full body scanner]

    승객들이 은닉한 무기나 폭발물 등을 탐지하기 위해 공항 등에 설치되는 전신투시 스캐너로, ...

  • 집행임원

    이사회가 결정한 사항을 실무에서 집행하는 임원을 말한다. CEO나 CFO, CTO등이 이에...

  • 주노[Juno]

    미국 항공우주국(NASA)의 무인 목성 탐사선. 2011년 8월5일 미국 플로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