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산금융
케이블카, 크레인, 원자재 등 기업의 동산을 담보로 하는 대출이다. 부동산 등 자산이 없거나 신용이 낮은 중소기업들 위주로 수요가 있지만, 몇년 전까지만 해도 은행은 취급을 꺼려 왔다. 기업이 동산 담보를 몰래 처분하는 등 담보 가치가 훼손돼 부실이 나는 일이 많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은행들이 IT기술을 기업의 동산 담보를 실시간으로 관리할 수 있는 디지털 플랫폼을 만들면서 동산 담보 대출이 활성화되고 있다.
국민은행 2019년 4월 KT와 협약을 맺고 기업의 동산 담보를 실시간으로 관리할 수 있는 디지털 플랫폼을 만들었다. 담보의 위치와 상태에 이상이 발생하면 KT텔레캅이 즉시 출동한다. 은행은 2021년 2월 은행권 최초로 동산 등기부 디지털 열람·관리 시스템도 구축했다. 또 재고 자산에는 QR코드를 부착, 수량을 정기적으로 파악해 별도 관리한다.
기업 입장에서도 이점이 커졌다는 설명이다. 과거에는 동산 담보 인정 비율이 30~40%에 불과했지만 최대 60% 안팎으로 높아졌다. 대출 금리도 연 1%포인트 이상 줄일 수 있다. 국민은행 관계자는 “앞으로 인터넷 전자등기 시스템을 구축해 동산담보권을 설정할 때도 전자 설정 계약 시스템을 사용하고, 비대면 대출 상품까지 출시하는게 목표”라고 설명했다.
-
대인배상Ⅰ
자동차 사고로 타인을 다치게 하거나 사망케 한 경우 이에 대한 손해배상에 대한 담보다. 2...
-
동위효소분석
생물체의 여러 가지 대사 기능을 조절하는 효소들 중 똑같은 기능을 지닌 효소들을 동위효소(...
-
대학과목선이수제[advanced placement, AP]
대학 과정을 고등학교에서 미리 듣는 제도를 뜻한다. 고등학생들이 자신의 능력을 감안해 선택...
-
다자간 투자협정[multilateral agreement on investment, MAI]
다자간 투자협정이란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는 외국인 직접투자를 보호하고 촉진하자는 취지로 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