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평균물가목표제

[average inflation target, AIT]

미국 중앙은행(Fed)이 코로나19로 위기에 빠진 경제를 부양하기 위해 2020년 10월 도입한 정책으로 물가 상승률이 평균 2%를 넘어도 일정기간 용인하겠다는 것을 주내용으로 하고 있다.

이에 따라 월가에서는 인플레이션을 예상하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Fed가 최소 5년간 제로금리 정책을 이어갈 것으로 예고한 가운데 재정 부양책도 지속될 것으로 관측되고 있는 탓이다.

*인플레이션이 주가에 미치는 영향
골드만삭스에 따르면 인플레이션이 주가에 미치는 위험은 적은 편이다. 역사적으로 주가가 가장 좋았을 때는 인플레가 약 2% 수준일 때다. 이러면 증시에 문제가 될 수 있는 Fed의 금리 인상을 촉발하지 않으면서도, 기업의 매출과 이익을 높이는 데는 충분하다.

골드만삭스 분석에 따르면 Fed의 새로운 접근법은 일정 기간 목표(2%) 이상의 인플레이션을 명시적으로 장려하고 있다. 이게 의미하는 건 인플레이션이 주가에 역풍이 되기 전까지 상당기간 증시에 유리할 수 있다는 것이다.

  • 펫코노미[petconomy]

    반려동물과 관련한 시장 또는 산업을 일컫는 신조어로 반려동물을 뜻하는 영단어 펫(Pet)과...

  • 펄스

    하나의 무늬가 있는 비주기적 파형. 진폭은 있지만 마루(극대)는 있고 골(극소)이 ...

  • 프라이빗 뱅커[private banker]

    고액 자산가의 자산 관리를 도와주는 금융회사 직원을 말한다. 이들은 거액자산가를 대...

  • 프로수르[Prosur]

    이르면 2019년 상반기에 결성된 친미 우파 동맹을 말한다. 좌파 남미국가연합인 우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