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라이브 커머스

 

채팅으로 소비자와 소통하면서 상품을 소개하는 스트리밍 방송.
네이버의 '쇼핑라이브', 카카오의 '톡 딜라이브', 티몬의 '티비온라이브', CJ올리브영의 '올라이브', 롯데백화점의 '100라이브'등이 국내의 대표적 라이브커머스 플랫폼이다.

라이브커머스의 가장 큰 특징은 ‘상호 소통’이다. 생방송이 진행되는 동안 이용자들은 채팅을 통해 진행자, 혹은 다른 구매자와 실시간 소통할 수 있다. 상품에 대해 다양한 정보를 줘 비대면 온라인 쇼핑의 단점을 보완한다. 라이브커머스는 모바일 실시간 소통에 특화된 ‘MZ세대’를 주요 고객으로 삼고 있다. MZ세대는 1980년대 초~2000년대 초 출생한 밀레니얼 세대와 1990년대 중반~2000년대 초반 출생한 Z세대를 통칭하는 말이다.

IT업계 관계자는 “라이브커머스는 소통과 쇼핑을 결합해 재미를 극대화한다”며 “단순한 쇼핑 이상의 문화로 자리잡을 수 있는 신사업으로 각광받고 있다”고 말했다.

  • 리세스 오블리주[Richesse Oblige]

    지도층의 의무를 강조하는 ‘노블레스 오블리주’처럼 부자에게도 사회적 책임이 뒤따른다는 개념...

  • 렌딩클럽[Lending Club]

    온라인 경매 업체인 이베이(eBay)의 창업자이기도 한 피에르 오미디야르가 설립한 P2P대...

  • 리콜제도[recall system]

    회사 측이 제품의 결함을 발견하여 보상해 주는 소비자보호제도. 회사 측이 제품의 결함을 발...

  • 링크트인[LinkedIn]

    세계 최대 비즈니스 인맥관리서비스 사이트다. 2002년 리드 호프먼(Reid Hoffm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