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비트코인 반감기

[bitcoin halving]

비트코인 반감기는 채굴 보상이 약 4년마다 절반으로 줄어드는 현상으로, 비트코인의 전체 발행량이 2100만 개로 제한됨에 따라 발생한다. 이 과정은 채굴된 비트코인의 양이 기존의 절반으로 감소함을 의미하며, 비트코인의 공급량 조절 메커니즘의 일부로 설계되었다.

2009년 비트코인이 처음 출시된 이후로, 2024년 5월 8일 현재까지 총 네차례의 반감기가 발생했다:

첫 번째 반감기는 2012년, 블록 보상이 50BTC에서 25BTC로 감소했다.
두 번째 반감기는 2016년, 보상이 12.5BTC로 떨어졌다.
세 번째 반감기는 2020년, 보상이 6.25BTC로 줄었다.
네 번째 반감기는 2024년 4월 28일로, 이때는 보상이 3.125 BTC로 줄었다.


비트코인 반감기 이후에는 항상 가상자산 업계의 성장이 있었다. 2012년 11월의 첫 번째 반감기가 실행된 후 다음 반감기까지 비트코인 가격이 약 50배 상승했고, 2016년 7월 두 번째 반감기 이후에는 초기코인공개(ICO) 광풍이 시작되었다. 2020년 5월 세 번째 반감기 이후에는 소위 ‘디파이 여름(DeFi Summer)’이라 불리는 디파이 대유행이 시작되었고, 얼마 지나지 않아 대체불가능토큰(NFT) 프로젝트들도 등장했다.

비트코인의 창시자로 알려진 사토시 나카모토는 반감기 메커니즘을 도입하여 비트코인을 디플레이션적 특성을 가진 통화로 만들고자 했다. 이는 비트코인의 가치를 유지하고 인플레이션에 대한 저항 수단으로 기능한다.

그러나 반감기 주기와 발행 한도가 변하지 않을 것이라는 보장은 없으며, 소프트웨어 수정을 통해 변경될 가능성이 있다. 사토시 나카모토는 2008년부터 2140년까지 총 2100만 개의 비트코인을 발행할 것으로 설정했지만, 향후 채굴업자들의 반감기 조정 요구 등으로 인해 변화가 발생할 수 있다.

반감기는 채굴자 보상 감소로 인해 비트코인의 가치가 장기적으로 상승할 가능성을 제공하지만, 동시에 채굴자들의 수익성 감소로 이어질 수 있으며, 이는 대규모 비트코인 매도로 이어져 가격 변동성을 초래할 수 있다는 우려가 있다.

  • 부당내부거래

    대규모 기업집단 소속회사가 같은 계열사와의 거래에서 비계열사와의 거래보다 가격 거래조건 등...

  • 반의사불벌죄

    피해자의 의사와 관계없이 형사상 소추할 수 있지만 피해자가 처벌을 원하지 않는다는 의사를 ...

  • 베어스턴스 반등[The Bear Sterns Bounce]

    대세 하락장에서 짧은 기간 동안 일어나는 급격한 상승을 말한다. 베어스턴스는 2008...

  • 부실채권정리기금

    1997년 외환위기 이후 부실채권을 정리하고 금융기관의 건전성을 높이기 위해 한국자산관리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