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적장세
경기 전체 또는 각 기업의 실적이 주가를 끌어올리는 증시상황을 말한다. 업적장세라고도 한다. 통상적으로 이 장세 전반에는 소재산업이, 장세 후반에는 가공산업이 주도하며 거의 전 업종에 걸친 순환상승세가 나타나고 경기순환상으로도 2∼3년간에 걸친 비교적 장기간 지속되는 특징을 보인다. 경기호황에 따른 실적장세가 어느 정도 지속되면 자금수요가 너무 왕성하게 되어 금융핍박감이 나타나며 정책당국도 인플레, 국제수지불균형 등을 우려하여 금융긴축에 나서게 된다.
그 결과 금리는 상승하고 주가는 급락하게 되는데 이러한 상황을 역금융장세라고 한다. 유동성 장세에서는 기업 내용과 관계없이 무차별적으로 주가가 오르지만 실적 장세로 돌아서면 우량기업 주식이 시장을 주도하는 것도 일반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이다.
-
스왑션[swaption]
고정금리와 변동금리를 바꾸는 스와프(swap)와 일정기간 후 권리를 행사할 수 있는 옵션(...
-
스냅드래곤 X50[Snapdragon X50]
미국의 IT기업 퀄컴이 세계최초로 개발한 5G 상용 모뎀 칩으로 5G 뉴라디오(NR) 국...
-
세계3대 표준화기구
국제표준화기구(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
-
세액감면[tax abatement]
납세의무의 감소. 세액감면은 납세의무의 일부가 면제되는 부분감면에서 납세의무가 완전히 면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