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실업의 종류

 

잠재적 실업 : 표면상으로는 실업이 아니지만 실제로는 노동자가 자신의 생산력을 충분히 발휘하지 못해 낮은 소득수준과 불만족한 생활을 지속하는 반실업 형태.

비자발적 실업 : 실업자들이 꾸준히 구직활동을 함에도 불구하고 기술과 능력에 맞는 적당한 직장을 구하지 못해 발생하는 것으로 노동자의 의사와 무관한 실업.

구조적 실업 : 자본주의 경제구조의 모순에서 오는 만성적인 실업 형태로 30년대 세계를 휩쓸었던 대공황이 대표적인 예다.

마찰적 실업 : 상업간 또는 지역간의 노동력 이동가정에서 일시적 수급불균형으로 인해 생기는 실업. 대규모 사업체가 부도났을 경우 이 회사의 근로자들이 새로운 일자리를 찾을 때까지 생기는 한시적 실업이 대표적인 예다.

실망실업 : 산업구조조정이나 경기침체 등으로 일자리가 줄어들어 구직활동을 벌여도 직장을 얻기가 거의 불가능하다는 점을 알고 아예 구직활동을 포기한 경우로 최근 이러한 실망실업자들이 늘고 있다.

△실업인정 : 전직실업자들이 취업을 위해 노력하고 있으나 일자리를 얻지 못했다고 노동부가 공식적으로 인정하는 제도. 실업인정을 받은 근로자에 한해 실업급여 지급혜택이 주어진다.

  • 서울런

    서울런(slearn.seoul.go.kr)은 서울특별시에서 운영하는 온라인 교육 플랫폼으로...

  • 생성형 AI[generative AI]

    기존 데이터를 학습해 새로운 텍스트, 이미지, 음악 등의 콘텐츠를 만드는 인공지능 기술을 ...

  • 상관계수

    두 변수간의 연관성을 보여주는 지표다. 값이 1이면 두 변수의 움직임이 완전히 같다는 뜻이...

  • 시냅스[synapse]

    신경계를 구성하고 있는 각 신경세포간의 연결부위. 자극과 흥분을 전달하는 뉴런(neur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