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실업의 종류

 

잠재적 실업 : 표면상으로는 실업이 아니지만 실제로는 노동자가 자신의 생산력을 충분히 발휘하지 못해 낮은 소득수준과 불만족한 생활을 지속하는 반실업 형태.

비자발적 실업 : 실업자들이 꾸준히 구직활동을 함에도 불구하고 기술과 능력에 맞는 적당한 직장을 구하지 못해 발생하는 것으로 노동자의 의사와 무관한 실업.

구조적 실업 : 자본주의 경제구조의 모순에서 오는 만성적인 실업 형태로 30년대 세계를 휩쓸었던 대공황이 대표적인 예다.

마찰적 실업 : 상업간 또는 지역간의 노동력 이동가정에서 일시적 수급불균형으로 인해 생기는 실업. 대규모 사업체가 부도났을 경우 이 회사의 근로자들이 새로운 일자리를 찾을 때까지 생기는 한시적 실업이 대표적인 예다.

실망실업 : 산업구조조정이나 경기침체 등으로 일자리가 줄어들어 구직활동을 벌여도 직장을 얻기가 거의 불가능하다는 점을 알고 아예 구직활동을 포기한 경우로 최근 이러한 실망실업자들이 늘고 있다.

△실업인정 : 전직실업자들이 취업을 위해 노력하고 있으나 일자리를 얻지 못했다고 노동부가 공식적으로 인정하는 제도. 실업인정을 받은 근로자에 한해 실업급여 지급혜택이 주어진다.

  • 서방출형 人성장호르몬[Sustained Release-human Growth Hormone, SR-hGH]

    서방출형이란 약을 매일 투여해야 하는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제형을 개선해 약효가 체내에서 ...

  • 사내유보[retained earnings]

    대차대조표의 이익잉여금과 자본잉여금을 합한 것이다. 이익잉여금은 기업이 벌어들인 이익에서 ...

  • 상장폐지기준[delisting standard]

    증권시장에서 상장유지 기준을 만족시키지 못할 때 상장폐지를 결정하는 기준. 일반적으로 사업...

  • 사전연명의료의향서

    나중에 아파서 회복 불가능한 상태가 됐을 때 연명의료를 받지 않겠다는 뜻을 미리 밝혀두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