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슬로벌라이제이션

[slowbailzation]

2008년 금융위기를 기점으로 세계화(globalization)의 흐름이 후퇴하는(slow) 현상을 말하는 것으로 영국의 이코노미스트에서 최초로 사용했다.
미국을 필두로 자국우선주의와 통상마찰이 확산되면서 슬로벌라이제이션 현상이 발생하고 있다.
이코노미스트에 따르면 국가간의 재화·서비스 교역량은 2008년 전 세계 국내총생산(GDP) 대비 61%에서 2018년 58%로 줄었다. 국가 간 은행대출도 2006년 60%에서 2018년 36%로 급감했다. 금융위기 무렵부터 2018년까지 무역·투자·인력 교류 등 12개 세계화 연관지표 중 8개에서 세계화 수준이 후퇴했다.
슬로벌라이제이션은 2019년 다보스 포럼에서 제시된 ‘세계화 4.0’과 같은 의미다.

슬로벌라이제이션으로 대변되는 뉴 노멀 시대엔 한국처럼 대외 환경에 의존하는 국가일수록 불리하다. 미·중 무역마찰이 장기화되는 과정에서 한국이 충격을 많이 받는 것도 이 때문이다.

  • 소셜 펀딩[social funding]

    개인이나 신생기업이 사업 개요를 인터넷에 공개해 일반인의 투자를 받는 방식. 영화 음반 등...

  • 수치예보모델

    관측데이터를 활용해 앞으로의 대기 움직임을 시간대별로 예측해내는 컴퓨터 소프트웨어다. 기상...

  • 사우스웨스트 효과[Southwest effect]

    가격이 하락함에 따라 이용객이 늘어나는 현상을 말한다. “사우스웨스트 효과”는 미국 사우스...

  • 슈퍼커패시터[Electric Double Layer Capacitor, EDLC]

    에너지를 저장한 뒤 필요할 때 순간적으로 고출력 전기를 보낼 수 있는 에너지 저장장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