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시장지표채권

 

시장지표채권이란 시장의 중심이 되는 채권을 말한다. 다른 채권들은 이 채권의 수익률을 기준으로 지급불능위험을 감안해 수익률을 결정하게 된다. 지표채권이 되려면지급불능위험이 없고 시세가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조건을 갖춰야 한다. 미국에서는 30년 만기의 재무부채권(TB), 일본·독일·영국에서는 10년만기의 국채를 시장지표채권으로 사용하고 있다. 국민주택 1종채권의 경우 표면금리 5%에 첨가소화형으로 발행되지만 지급불능 위험이 없고 거래가 많아 지표채권으로서의 요건을 갖춘 것으로 증권거래소는 보고 있다.

  • 세계핵테러방지구상[Global Initiative to Combat Nuclear Terrorism, GICNT]

    2006년 7월 G8 정상회의에서 핵테러 대응능력 제고와 국제공조 강화를 위해 미국과 러시...

  • 시가평가제도

    취득원가(장부가)로 기록돼 있는 채권의 가격을 시가로 평가하는 제도. 펀드에 들어 있는 채...

  • 스토킹 피해자 보호법

    스토킹 피해자 보호·지원 방안을 담은 법률로 2021년 10월 21일부터 시행된 스토킹처벌...

  • 실질이자율[real interest rate]

    현재의 이자율에서 인플레이션율을 차감한 것. 명목이자율에서 인플레이션율을 뺀 것(실질이자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