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전지박

 

전지박은 충전 후 반영구적으로 사용하는 2차 전지의 음극 부분에 씌우는 얇은 구리막.

전지박은 전자가 이동하는 경로다. 배터리에서 발생한 열을 외부로 방출하고, 전극의 형상을 유지하는 지지체 역할도 하기 때문에 전기차 배터리의 핵심 부품으로 꼽힌다.

우리나라에선 두산그룹의 사업지주회사인 (주)두산이 2014년 룩셈부르크의 동박(銅薄) 제조업체 서킷포일을 인수해 전지박 원천기술을 확보했다.
2018년 7월 1일에는 헝가리 터터바녀 산업단지 내 14만㎡ 부지에 연간 5만t 규모의 전지박 생산 공장 건설 계획을 발표했다. 2019년 하반기 공장 건설을 완료하면 매년 전기차 220만 대에 공급할 수 있는 수준의 전지박을 생산한다.

  • 재판매

    (무역)수출자가 해외지사나 현지 법인에 물품을 수출하고, 동 해외 지사나 현지 법인이 같은...

  • 직권상정

    국회에서 법안은 통상 소관 상임위원회에서 심의를 마친뒤 법제사법위원회를 거쳐 본회의 의결 ...

  • 지니 계수[Gini’s coefficient]

    소득분배의 불평등도를 나타내는 수치. 일반적으로 분포의 불균형도를 의미하지만 특히 소득이 ...

  • 전지박

    전지박은 충전 후 반영구적으로 사용하는 2차 전지의 음극 부분에 씌우는 얇은 구리막.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