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내진강재

[steel for seismic application]

내진 구조물에 최적화된 건축구조용 강재.

항복강도, 에너지 흡수 능력, 충격 인성이 엄격하게 보증되고, 용접성능이 우수해 지진이나 바람 등 외부 에너지에 대한 충격을 보다 잘 견딜 수 있도록 설계된 고성능 건축구조용 강재다. 형강, 철근, 후판, 강관 등 주요 건축구조용을 중심으로 내진강재 개발이 이루어졌다.

지진이 자주 발생하는 일본과 미국의 경우 건축 구조에 대한 강종 사용 규정을 두어 내진강재 적용이 보편화 돼있다. 일본은 1994년 SN(Steel New Structure)강 규격(JIS G3136)을 제정하고 일반구조용 강재는 건축구조용으로 사용할 수 없도록 법제화 하고 있다. 미국의 경우에도 A992강을 내진용 강재로 규정하고 이의 사용을 권장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현대제철이 2017년 국내최초로 내진용 철강재 브랜드인 H CORE를 출시하는 등 내진용 강재에 대한 관심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다.

  • 나노와이어[nanowire]

    단면의 지름이 1나노미터(1나노는 10억분의 1미터) 정도의 극미세선을 말한다. 레이저나 ...

  • 노사정위원회[勞社政 委員會]

    근로자와 사용자, 정부 대표의 모임이다. 노·사·정 간 합의 도출을 위해 대통령 소속 ...

  • 넛 크래커[nut-cracker]

    넛 크래커(nut-cracker)’는 호두를 양쪽에서 눌러 까는 호두까기 기계를 말하는데,...

  • 네가와트 시장[negawatt market]

    소비자들이 아낀 전력을 되팔 수 있는 전력거래시장으로 수요자원 거래시장이라고도 한다. 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