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한·미 FTA

[韓ㆍ美 自由貿易協定, South Korea–United States Free Trade Agreement]

한국과 미국간의 상품 및 서비스 무역에 있어서의 관세 철폐 등에 관해 맺은 협정.
2006년 6월 5일 미국 워싱턴에서 첫 협상을 시작해서 2007년 3월 8차 공식협상을 마치고 4월2일 정부 간 협상을 타결시으며 2010년 12월3일 추가협상이 타결됐다. 이후 2011년 11월 22일 국회를 통과한 후 2012년 3월 15일 0시를 기준으로 발효됐다.

한미 FTA는 상품, 서비스/투자, 정부조달, 지적재산권, 노동, 환경 등의 다양한 분야를 포함하고 있는 포괄적인 FTA이다.
세계 최대의 경제대국인 미국과의 FTA를 맺음으로써 유럽, 아시아, 아메리카 대륙을 잇는 경제영토를 확보하였으며 이를 통해 세계 경제규모의 60.9%, 27억 인구를 가진 거대 시장도 확보하였다.

이 후 우리나라는 2013년부터 2016년까지 4년 연속 200억달러 이상 대미 무역흑자를 기록하고 있다.

한편 2017년 1월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은 취임하자마자 북미자유무역협정(NAFTA) 재협상을 추진하고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TPP)에 탈퇴 서명을 하는 등 ‘통상전쟁’을 예고하면서 다음 타깃이 한·미 자유무역협정(FTA)이 될지가 관심을 끌고 있다.

  • 환경친화적 차종

    자연을 먼저 생각하는 자동차란 뜻으로 국내에서는 1995년 환경친화적 산업구조로의 전환촉진...

  • 현행 우수제조관리기준[Current Good Manufacturing Practice, cGMP]

    의약품 및 생물의약품의 유효성(Efficacy), 안전성(Safety), 안정성(Stabi...

  • 환산보증금

    상가임대차보호법에서 보증금과 월세 환산액을 합한 금액을 말한다. 환산보증금=보증금+...

  • 한계예금지급준비금

    현저한 통화팽창기에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경우 금융통화위원회가 지정하는 날을 기준으로 예금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