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다중채무자

 

세 곳 이상의 금융회사에서 돈을 빌린 사람을 말한다.

다중채무자는 금리 상승이 본격화할 때 가장 먼저 타격을 받는다. 금리상승기에는 다중채무자 가운데서도 절대적인 빚 규모가 큰 차입자, 그리고 수입이 적은 저소득층에서 부실 위험이 커진다.

가장 문제가 되는 것은 ‘빚으로 빚을 돌려 막는’ 신용대출 채무자들이다.

2023년 6월말 기준으로 우리나라의 다중채무자수는 448만명으로 국민 10명 중 한명 꼴로 한국은행이 통계를 집계한 이후 최고수치를 기록했다.

다중채무자가 전체 가계대출자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2.6%로 나타나 이 역시 사상 최대를 기록했다.

다중채무자의 전체 대출 잔액은 572조4000억원, 1인당 평균 대출액은 1억2785만원으로 집계됐다.

이들의 평균 DSR(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은 61.5%였다.

DSR이란 해당 대출자가 한해 갚아야 하는 원리금 상환액을 연 소득으로 나눈 값을 뜻한다. 대출받는 사람의 전체 금융부채 원리금 부담이 소득과 비교해 어느 정도 수준인지 가늠하기 위한 지표다.

관련어

  • 동부표준시[Eastern Standard Time, EST]

    미국 동부와 캐나다, 멕시코의 일부에서 사용되는 표준시다. 세계표준시인 그리니치 평균시에 ...

  • 단체표장[collective mark]

    조합이나 협회 등 일정한 단체의 회원이 사용하고 그 회원임을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하는 상표...

  • 대주단협약

    우량 건설업체들을 일시적인 자금경색으로 인한 흑자도산 위기에서 구하기 위해 2008년 4월...

  • 도시설계

    도시에 건축물 형태, 규모 등이 불규칙하게 난립하는 현상을 막고 균형있게 건축하게 함으로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