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손실회피성

[loss aversion]

같은 금액이라면 손실을 이익보다 훨씬 더 크게 느끼는 현상을 가리킨다. 2002년 노벨경제학상을 받은 이스라엘 심리학자 다니엘 카너먼이 에이모스 트버스키와 함께 1979년 제시한 가치함수가 손실회피성을 잘 설명해 준다. 가치함수를 그래프로 그리면 좌우 비대칭의 S자 모양이 나온다. 이익 쪽보다 손실 쪽 그래프가 더 가파른 기울기를 보인다. 같은 금액이라면 손실에 대해 느끼는 가치의 크기가 이익으로 인한 가치의 두 배에 이른다.

이 같은 손실회피성은 사람들이 일반적으로 주식 같은 위험자산에 대한 투자를 주저하는 이유를 설명해 준다. 대개 사람들은 자신의 자산 포트폴리오에서 위험자산의 비중을 아주 낮게 유지한다. 물론 자신의 위험선호 성향에 맞지 않게 위험자산의 비중을 높이면 안 되지만 장기적으로 위험자산의 비중이 너무 낮으면 적절한 수익률을 기대하기 어렵다.

  • 사망보험[insurance payable at death]

    사망보험은 피보험자가 보험기간중 장해 또는 사망시 보험금이 지급되는 전형적인 보장성보험으로...

  • 소멸성 DVD

    진공 포장을 벗기면 48~120시간 이후 내용이 자동으로 사라지는 특수 DVD.해당 시간 ...

  • 성년후견제도

    판단능력이 충분치 않은 고령자나 장애인의 재산과 신상을 사회복지적 차원에서 관리하는 법률제...

  • 수소전문기업

    총 매출액중 수소사업 관련 매출액 또는 투자금액 비중이 일정 기간 이상인 기업. 정부는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