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대·중소기업 상생협력기금

 

대기업이 중소 협력업체 지원 목적으로 대·중소기업협력재단에 출연한 기금.

대기업이 지원 대상 중소기업과 지원 과제를 정하면 재단이 출연금을 집행한다.

2015년 말 기준 총 153개 기업이 9526억원을 출연하는 협약을 체결했다.

2017년부터 모든 대·중소기업 상생협력기금 출연금에 7%의 세액공제가 적용된다.

관련기사

  • 대·중소기업 상생협력기금 출연금 무조건 7% 세액공제

    내년부터 모든 대·중소기업 상생협력기금 출연금에 7%의 세액공제가 적용된다. 지금은 연구개발(R&D) 지원 등 특정 목적의 출연금에만 세액공제 혜택이 있다. 출연금이 ‘인건비 지원’ 등 중소 협력업체가 필요로 하는 다양한 분야에 쓰일 것으로 전망된다. 기획재정부 관계자는 20일 “세액공제 대상 대·중소기업 상생협력기금 출연금을 명시한 조세특례제한법(조특법) 8조3을 개정할 방침”이라며 “모든 출연금이 세액공제 대상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조특법 개정안은 오는 28일 발표하는 2016년 세법개정안에 포함될 예정이다. 조특법 8조3에 따라 대·중소기업 상생협력기금에 출연한 대기업은 출연금의 7%를 법인세에서 공제받을 수 있다. 세액공제가 가능한 출연금은 중소 협력업체의 △연구 △인력개발 △생산성 향상 △해외시장 진출 △온실가스 감축 및 에너지 절약을 지원할 경우로 한정된다. 이로 인해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는 R&D 재료비 지원, 협력사 직무교육, 해외박람회 참가 지원 등 분야에 출연금이 집중되는 부작용이 생겼다. 기재부 관계자는 “법으로 세액공제 혜택을 제한할 필요가 없다고 판단했다”며 “대기업들이 자유롭게 상생협력기금 출연금을 활용하고 세액공제를 받으라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조특법이 개정되면 대·중소기업 상생협력기금 출연금은 중소 협력업체가 필요로 하는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될 전망이다. 대기업이 출연금으로 중소 협력업체 R&D 인력의 인건비를 지원하거나 우수 중소 협력업체 직원에게 포상비를 지원할 수 있게 된다. 중소 협력업체에 물류창고 등 저장시설을 지원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재계에선 그동안 세액공제 대상 출연금의 범위를 중소기업 수요가 큰 상품 개발, 판로 지원, 마케팅 비용 지원 등으로 확대해줄 것을 정부에 요구해왔다. ■ 대·중소기업 상생협력기금 대기업이 중소 협력업체 지원 목적으로 대·중소기업협력재단에 출연한 기금. 대기업이 지원 대상 중소기업과 지원 과제를 정하면 재단이 출연금을 집행한다. 작년 말 기준 총 153개 기업이 9526억원을 출연하는 협약을 체결했다. 지금까지 집행한 금액은 4983억원이다. 황정수 기자 hjs@hankyung.com

    2016-07-21
  • 도시관리계획

    토지의 개발,정비 및 보전을 위하여 수립하는 토지이용, 교통, 환경, 경관, 안전,산업, ...

  • 디파이[decentralized finance, DeFi]

    블록체인 기술을 바탕으로 한 탈중앙화 금융을 말한다. 금융회사를 끼지 않고 결제, 송금, ...

  • 다각무역[multilateral trade]

    다각무역은 바터(barter)제의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하여 상대국과의 사이에 일국 이상의 ...

  • 달러라이제이션[Dollarization]

    달러라이제이션은 두가지 의미로 사용돼 왔다. 하나는 한 나라의 통화수요에서 달러화 사용비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