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시스템대사공학

[systems metabolic engineering]

미생물의 유전자를 체계적으로 분석한 뒤 사람이 컴퓨터로 원하는 생명체를 설계해 유용한 화학물질을 생산하는 기술이다. 지금까지 나일론의 원료가 되는 다이아민 생산 균주와 플라스틱 원료로 사용되는 생분해성 고분자인 폴리유산 생산 균주, 강철보다 강한 거미줄 등이 개발됐다.

최근엔 비싼 석유를 대체할 값싼 차세대 바이오 연료인 부탄올을 생산하는 균주를 개발해 주목 받고 있다. 이를 이용하면 식물 찌꺼기인 바이오매스에서 플라스틱 원료는 물론 휘발유 등의 연료 등 각종 화학물질을 생산할 수 있다. 대장균과 같은 미생물의 유전자를 조작해 이들의 신진대사 과정에서 화학물질을 생산하는 방식이라는 점에서 ‘세포 공장’이라 불리기도 한다.

KAIST 생명화학공학과 특훈교수가 창안한 분야로 세계경제포럼(WEF)이 선정한 ‘2016년 세계 10대 유망기술’에 선정되기도 했다.

  • 선제적 대응

    금리 인상이나 인하의 효과는 보통 6개월 정도 뒤에 나타난다. 이를 고려해 물가가 오르거나...

  • 실직증후군[layoff syndrome]

    실직증후군이란 퇴직을 했거나 퇴직을 앞두고 있는 사람들에게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불안감과 ...

  • 신용평가

    증권이나 채권을 발행하는 국가·기업·금융기관 등의 재무상황, 경제적 환경 등 정치·경제적 ...

  • 상계가능보조금[actionable subsidies]

    일국의 정부 또는 공공기관으로부터의 재정지원 및 기타 소득 및 가격지원으로 특정성이 있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