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대분열 시대

[the great divergence]

미국과 미국 이외의 주요경제국인 EU, 중국, 일본 등이 저금리기조에 대한 동조화를 포기하고 각각의 차별화된 통화정책을 펴는 현상.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7년간 주요국은 미국 중앙은행(Fed)를 구심점으로 초저금리와 돈풀기를 통한 경기부양을 목표로 일사불란하게 달려왔다. 하지만 2015년 12월 16일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가 금리를 0.25%올리면서 세계각국의 통화정책기조가 엇갈리는 대분열의 시대가 오게 됐다.

Fed가 긴축으로 돌아서면서 전 세계 투자자들의 눈은 유럽중앙은행(ECB)에 쏠리고 있다. 미국과 달리 유럽 경기는 아직 냉기가 감돈다. ECB는 2015년 12월 3일 마이너스 예금금리를 0.1%포인트 더 내려 -0.3%까지 낮췄다. 현금 살포와 다름없는 양적 완화 프로그램도 2017년 상반기까지 6개월 연장하기로 했다. 하지만 ECB의 결정에 독일 등 유럽 주요국 증시는 3%대의 급락세를 보였다. ECB의 조치가 시장의 기대에 못 미쳤기 때문이다.

미국과 더불어 가장 유력한 금리인상 국가로 거론됐던 영국은 물가상승률 때문에 멈칫거리고 있다. 영국이 2015년 12월 10일 연 0.5%인 기준금리를 8 대 1의 압도적 표차로 유지하기로 한 것도 지난 10월까지 1년간의 평균 물가상승률이 -0.1%로 목표치 2%에 한참 못 미쳤기 때문이다. 영국이 금리인상을 시도할 수 있는 시점은 일러야 2016년 말이 될 것으로 전문가들은 보고 있다.

일본은행은 미국의 긴축으로 엔저(低) 흐름이 바뀌는 것이 아닌지 우려하고 있다. Fed의 금리인상으로 글로벌 금융시장의 불안정성이 커지면 안전자산인 엔화에 대한 수요가 늘 수 있기 때문이다. 이 경우 엔화 강세와 수출경쟁력 감소로 이어질 수 있다.

  • 도시환경정비사업

    상업지역·공업지역 등으로서 토지의 효율적 이용과 도심 또는 부도심 등 도시기능의 회복이나 ...

  • 디지털 치료기기[Digital Therapeutics, DTx]

    기존의 먹는 알약이나 주사제가 아닌 디지털 소프트웨어(applocation)로 질병을 치...

  • 대위변제

    채무자가 은행에 대출금을 변제 못할 경우 보증기관에서 채무자를 대신하여 채무를 상환하는 것...

  • 디지털 채굴[digital mining]

    컴퓨터를 이용해 특정 네트워크에서 암호화된 문제를 해결해 가면서 전자화폐를 획득하는 과정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