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지능형 기가 인프라

[Intelligent GiGA Infra]

최첨단 관제, 클라우드, 빅 데이터 등을 결합해 이용자들에게 더 큰 가치를 제공하는 네트워크를 말한다. 2015년 9월 23일 KT가 2020년까지 미래 융합사업에 13조원을 투자해 4차 산업혁명을 주도하겠다며 밝힌 발전안에 처음 소개됐다.
황 회장은 “미래의 인프라는 속도, 용량, 연결을 뛰어넘는 가치를 가져야 한다”며 “인프라에 똑똑한 지능형 기능을 부가하면 더 경쟁력 있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지능형 기가 인프라의 예로 ‘위즈 스틱’을 소개했다. 위즈 스틱은 통신망 접속 단계에서 원천적으로 해킹 위협을 막아준다. 스틱을 PC나 노트북에 꽂은 뒤 지문 인식 절차를 거치면 아이디와 패스워드 입력 없이 안전하게 사이트에 접속할 수 있다. KT는 2015년 말 이 서비스를 상용화할 예정이다.


기업에 보안 기능을 제공하는 ''''기가오피스''''나 휴대형 보안 플랫폼 ''''위즈 스틱'''' 등이 그 예다.

  • 지식재산권[intellectual property right]

    사람의 창작물이나 연구 결과, 창작 방법 등을 법으로 보호하기 위해 부여한 권리. 산업재산...

  • 지급보증[payment guarantee]

    지급보증은 여러가지 형태로 이루어진다. 금융기관으로부터 대출을 받고자 할 때 회사의 신용이...

  • 재정위기관리제도

    채무, 금고 잔액, 공기업 부채 등 재정지표가 기준을 벗어난 지자체를 재정위기 단체로 지정...

  • 잠정조치

    지적재산권 침해로 인해 회복할 수 없는 피해가 있거나 그러한 피해를 입을 우려가 있을 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