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지능형 기가 인프라

[Intelligent GiGA Infra]

최첨단 관제, 클라우드, 빅 데이터 등을 결합해 이용자들에게 더 큰 가치를 제공하는 네트워크를 말한다. 2015년 9월 23일 KT가 2020년까지 미래 융합사업에 13조원을 투자해 4차 산업혁명을 주도하겠다며 밝힌 발전안에 처음 소개됐다.
황 회장은 “미래의 인프라는 속도, 용량, 연결을 뛰어넘는 가치를 가져야 한다”며 “인프라에 똑똑한 지능형 기능을 부가하면 더 경쟁력 있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지능형 기가 인프라의 예로 ‘위즈 스틱’을 소개했다. 위즈 스틱은 통신망 접속 단계에서 원천적으로 해킹 위협을 막아준다. 스틱을 PC나 노트북에 꽂은 뒤 지문 인식 절차를 거치면 아이디와 패스워드 입력 없이 안전하게 사이트에 접속할 수 있다. KT는 2015년 말 이 서비스를 상용화할 예정이다.


기업에 보안 기능을 제공하는 ''''기가오피스''''나 휴대형 보안 플랫폼 ''''위즈 스틱'''' 등이 그 예다.

  • 제로TV[zero TV]

    TV를 보지 않거나 보더라도 전통적 형태의 TV수상기를 통한 것이 아니라 스마트폰, 태블릿...

  • 잔여이익모델[Residual Income Model, RIM]

    기업의 미래 예상실적을 추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산출한 초과이익을 통해 기업가치를 평가하는 ...

  • 제꼬리 배당[bogus dividend]

    경영성과가 배당을 할 이익을 남기지 못했으면서도 자산처분이나 재평가차익 등으로 어쩔 수 없...

  • 정보고속도로

    수십 수백 기가bps(1기가bps는 초당 10억 바이트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속도)의 속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