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무역이득공유제

 

자유무역협정(FTA)로 인해 수혜를 받는 기업의 이익 일부를 환수, 농어업 등 피해산업을 지원하자는 제도.
2012년 10월 홍문표 새누리당 의원 등 농림수산식품위 소속 여야의원들이 발의한 ‘자유무역협정 체결에 따른 농어업인 등의 지원에 관한 특별법’이 근간을 이루고 있다.
법안의 내용을 보면 한·미 FTA가 발효된 2012년 3월15일을 기점으로 제조업과 서비스업 등 업종별 이익과 피해 규모를 조사한 뒤 향후 15년간 3조원의 기금을 마련, 농어업인의 피해를 지원하자는 게 골자다. 객관적인 조사를 위해 필요할 경우 민간단체나 개인, 연구기관에 협조를 요청할 수 있는 조항도 마련했다. 농민단체들의 피해 주장을 받아들일 수 있는 근거인 셈이다.
정부는 기업의 노력으로 얻은 성과를 조세 외에 별도 법률로 환수토록 하는 것은 자유로운 기업활동을 보장한 헌법에 위배된다는 입장이지만 총선이나 대선이 다가오면 표심을 잡으려는 정치권에 의해 주요 입법화 요구가 거세지는 등 주요 정치사안으로 떠오르곤 한다.

  • 만기매칭형 채권 ETF

    만기까지 채권 이자 수익을 얻다가 기한이 만료되면 원금 상환이 이뤄지는 상품이다. 금리 변...

  • 머크[Merck]

    헬스케어, 생명과학, 일렉트로닉스 비즈니스에 진출해 있는 독일 기업. 1668년 설립, 세...

  • 마이너스 금리 채권[negative yield bonds]

    만기시에 이자를 받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이자를 떼고 원금을 지급하는 채권. 즉 현재 채권...

  • 민식이법

    스쿨존에서 어린이 교통사고를 줄이겠다는 취지로 개정된 `도로교통법과 특정범죄가중처벌 등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