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불완전판매 위험지수

 

불완전판매 위험지수는 불완전판매 위험요소를 판매회사·금융투자상품·투자자·판매방법 등 11개 기준으로 세분화해 점수화한 것으로 금융감독원이 개발했다.
금융감독원은 이 지수를 활용해 약 200만개의 개인투자자 계좌를 분석하고 있다. 예컨대, 고위험 투자 상품을 살 수 없는 투자자 등급인데도 해당 상품을 구입한 계좌가 발견되면 ''해당 투자자가 증권사로부터 충분히 설명을 들었는지'' ''투자부적합 확인서를 제대로 작성했는지'' 등을 점검한다.

  • [Bot]

    IRC(Internet Relay Chat)채널에 접속해 머무르다가 해커의 명령을 받아 시...

  • 분배국민소득[national income distributed]

    생산활동에 참여한 개개의 생산요소에 지불된 소득과 기업가의 이윤을 말한다. 임금, 지대, ...

  • 부가가치 통신망[value added network, VAN]

    공중 전기통신사업으로부터 통신회선을 차용하여 독자적인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것을 말한다. 독...

  • 부외금융

    리스 계약과 같이 회사의 대차대조표상의 자산, 부채 어느 계정에도 나타나지 않는 자본조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