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구조적장기침체

[secular stagnation]

경기침체와 소득불평등 심화로 세계 경제가 만성적 수요부진에 빠진 상태.
앨빈 한센 하버드대 교수가 1938년 처음 사용한 용어로 2014년 11월 열린 국제통화기금(IMF) 콘퍼런스에서 미국 재무장관을 역임한 로렌스 서머스 하버드대 교수가 다시 들고나왔다. 이들은 경제가 성숙단계에 달한 상황에서 만성적인 수요 부족, 특히 기업들의 투자회피에 따른 과잉저축이 세계경제 장기정체의 원인이라고 주장했다.

서머스 교수는 그동안 빚을 지면서 소비를 늘려온 가계가 소비를 줄여 부채를 갚고 저축을 늘린 데다 주요 선진국들도 금융위기 후 긴축기조로 전환하면서 소비와 투자를 위축시키고 있다고 지적하며 기업들은 투자에 관심이 적고, 은행들은 여신의 만기연장에만 관심이 있다고 지적했다.

서머스 교수는 대안으로 정책당국에 공항, 도로, 철도 등 사회간접자본에 대한 과감한 투자를 주문했다. 민간 부문이 만성적인 수요 부진에 빠져 있어 스스로 충분한 고용과 성장률을 달성할 수 없기 때문에 정부가 적극적으로 개입해 인위적인 수요 창출에 나서야 한다는 것이다.

  • 개발기관[development institutions]

    소요자금의 대부분을 정부 또는 해외차입과 채권발행으로 조달하여 주로 장기 거액자금이 소요되...

  • 경인 아라뱃길

    서울 개화동에서 인천 서구 시천동을 거쳐 서해로 접어드는 길이 18㎞ 수심 6.3m, 폭 ...

  • 글로벡스[GLOBEX]

    "Global Exchange"를 줄여서 만든 합성어로서, 1992년 6월 미국의 시카고 ...

  • 건강가정사

    사회복지 문제의 큰 범위 안에서의 다양한 문제 해결의 전문가로 활동할 수 있다. 가정 문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