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큐레이터

[curator]

미술관의 모든 일을 처리하고 수행하는 사람. 보통 학예원(學藝員)이라고 한다.
큐레이터(curator)는 ‘보살핀다’ ‘관리한다’는 뜻의 라틴어 ‘큐라(cura·영어의 care)’에서 유래했다. 큐레이터의 어원에서도 알 수 있듯이 큐레이터의 주된 업무는 미술관 전반에 대한 관리다. 미술관에서 전시할 작품의 수집과 보존에 대한 모든 책임을 담당할 뿐만 아니라 관람객에게 해당 전시물이 제대로 전달될 수 있도록 전시 현장에 대한 부분, 작품 전시에 투여되는 예산 관리까지 수행한다.
현재 우리나라는 큐레이터의 이러한 전문성을 일찍부터 인식해 1984년 제정된 박물관법 제5조 1항을 통해 큐레이터 제도의 의무적인 법적 적용을 해왔다. 그 내용을 소개하면 ‘박물관에는 박물관 자료의 수집, 보존, 관리, 전시, 조사, 연구, 기타 이와 관련되는 전문적인 사항을 담당하는 직원을 둬야 한다’고 밝히고 있다.
최근에는 해외 박물관이나 미술관에서 작품을 대여해 전시회를 여는 경우가 많아지면서 전시물의 해외 운송과 보험처리 등의 업무까지 수행하며 그야말로 ‘미술관에 대해 최종적으로 책임을 지는 사람’이라 할 수 있다.

  • 캡티브 마켓[captive market]

    캡티브 마켓은 소비자들이 특정 공급업체에서만 제품이나 서비스를 구매할 수 있는 선택권이 제...

  • 코스튬플레이[costume play]

    의상을 뜻하는 코스튬(costume)과 놀이를 뜻하는 플레이(play)의 합성어로 만화나 ...

  • 콜 센터[call center]

    고객의 전화를 단순히 받는 곳이라고 알려져 왔으나 요즘은 보다 넓은 개념으로 마케팅, 고객...

  • 콘텐츠 마케팅[contents marketing]

    브랜드 이미지 개선을 위해 소셜 미디어나 광고주 웹 사이트 등에 음악, 동영상 등을 업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