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상계관세

[countervailing duty, CVD]

수출국에서 장려금이나 보조금을 지원받은 물품이 수입돼 국내산업이 피해를 입을 경우 이같은 제품의 수입을 억제하기 위해 부과하는 누진관세. 장려금이나 보조금을 받은 수출품은 그만큼 상품가격이 싸져 국제경쟁력이 강화되고 이 결과 수출을 증대시킬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상품을 수입하는 국가의 해당 산업은 시장을 잠식당하는등 타격을 받게 된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관세 및 무역에 관한 일반협정(GATT)은 수출국에서 지원한 보조금을 상쇄하도록 상계관세 부과를 인정하고 있다.

상계관세 부과의요건은 해당 제품의 제조, 생산 또는 수출에 대해 장려금, 보조금 등이 지급됐고 자국의 기존 산업이 실질적 피해를 입었거나 피해를 입을 우려가 있는 경우다.

또 수입국의 국내산업에 직접적인 피해가 없더라도 제3국(GATT 가입국에 한함)의 수출산업이 피해를 입으면 상계관세 부과가 인정된다.

  • 스테이킹[staking]

    은행 정기예금처럼 암호화폐를 거래소나 수탁업체에 맡기고 이자로 암호화폐를 받는 ‘코인 예금...

  • 세계지정학적 위험지수[geopolitical risk index, GPR]

    1900년부터 현재까지 세계 주요 언론에 언급된 비경제적 혹은 사회경제적 요인을 종합해 2...

  • 스모킹 건[smoking gun]

    어떤 사건의 결정적 증거. 영어로 smoking gun은 직역하면 "연기 나는 총"을 뜻...

  • 신 코픽스

    코픽스(COFIX)는 은행들이 정기 예·적금, 양도성예금증서(CD), 금융채 등 시장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