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세계지정학적 위험지수

[geopolitical risk index, GPR]

1900년부터 현재까지 세계 주요 언론에 언급된 비경제적 혹은 사회경제적 요인을 종합해 2000~2009년을 기준으로 세계 지정학적 위험이 악화 혹은 완화됐는지를 알 수 있는 가장 객관적인 지표로 미국 중앙은행(Fed)이 개발했다.

GPR 지수는 1차대전 당시 372포인트까지 치솟으면서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뒤이어 2003년 미국의 이라크 공습 당시 362포인트, 2차대전 당시 346포인트, 1982년 포클랜드 전쟁 당시 272포인트까지 올랐다. 2017년 들어서는 북핵 문제를 둘러싼 주변국 간 갈등과 각국 대통령이 잇달아 탄핵에 몰리면서 GPR 지수가 300포인트대까지 급등하고 있다.

시기별로는 금융위기 이전에는 비경제적 요인, 그 이후에는 사회경제적 요인에 따라 GPR 지수가 높아지고 있는 점이 눈에 띈다.

  • 스토브리그[stove league]

    정규시즌이 끝난 겨울철에 각 구단이 팀의 전력을 강화하기 위해 선수 영입과 트레이드에 나서...

  • 사이버위협경보

    국가사이버안전에 심각한 영향을 초래할 수 있는 상황에 대해 미리 예측해 경보하는 체계. 국...

  • 스노볼[snowball]

    1. 원ㆍ달러 환율이 오를수록 손해를 보는 통화옵션 상품의 일종. 키코는 계약 시점부터 만...

  • 선물 스프레드

    차근원물과 근원물 선물 가격의 차이. 작은 스프레드는 시장에 대한 투자자들의 부정적인 시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