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몬 시장
[Market for Lemons]정보의 비대칭성 때문에 저품질의 재화나 서비스만이 거래되는 시장 상황을 빗댄 표현. 1970년 미국의 이론 경제학자 조지 애컬로프 "레몬의 시장:품질의 불확실성과 시장 메커니즘"이라는 논문을 발표하며 널리 사용되기 시작했다. 정보의 비대칭성으로 ‘불완전 판매’가 이뤄지는 중고차를 겉은 예쁘지만 속은 아주 신 레몬에 빗댄 표현이다. 중고차 시장에서 차량 품질에 대한 정보는 파는 사람이 독점하고 있다. 일반적인 시장에선 상품 가격이 떨어지면 수요가 늘어나지만 중고차 시장은 자동차 가격이 지나치게 낮으면 ‘혹시 사고 차량 아니냐’는 의심이 들어 되레 수요는 줄어들게 된다.
관련어
- 참조어역선택 이론
 
- 
				린경영[lean management]				
"얇은" 또는 "마른" 이라는 lean이란 단어에서 출발한 신경영 기법을 말한다. 자재구매...
 - 
				로시가돌[roshgadol]				
원래 ‘큰 머리’라는 뜻이지만 이스라엘 군대에서 ‘책임감을 가지고 적극적으로 맡은 일 이상...
 - 
				람다 변이[Lambda(λ) Variant]				
2020년 8월 페루에서 최음 보고된 코로나19 변이 바이러스. 2021년 7월 1...
 - 
				로봇의 3요소[Three Elements of a Robot]				
로봇이 작동하는 데 필요한 3가지 핵심 요소. 센서(Sensor), 이펙터(Eff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