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회계거래

 

재무상태표의 자산·부채·자본에 변동을 가져오는 모든 거래를 일컫는다. 수익·비용을 발생시켜 순이익에 영향을 미치는 손익거래와 출자·감자·배당 등 자본의 증감거래 등이 해당한다. 일반적인 재화·서비스 구매 공급과 화재·도난 사건도 포함된다. 단, 재화·서비스 구매 공급 시에는 계약 당시가 기준이 아니라 실제 재화·서비스를 받거나 제공했을 때 회계장부에 기록된다. 즉 계약 단계에서는 회계 거래로 인식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현행 부가가치세법은 재화·서비스를 공급할 때 반드시 세금 계산서(대금 청구서)를 발급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현실적으로 세금 계산서 발급 시점이 회계 거래 반영 시점이다.

  • 확정기여형연금[defined contribution, DC]

    회사가 매달 금액을 적립하면 근로자가 직접 운용사를 골라 투자해 수익을 내는 방식. 200...

  • 한정승인

    상속인이 상속으로 얻은 재산 한도 내에서 피상속인의 채무 및 유증(유언으로 자기 재산을 남...

  • [exchange]

    멀리 떨어진 곳에 있는 사람들 간의 채권(채무)관계를 현금을 송치하지 않고 결제하는 제도....

  • 휴면보험금

    보험계약자가 보험료를 제때 납입하지 않아 실효된 후 2년이상 경과된 미지급 해약환급금을 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