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경전철

 

경량전철의 줄임말로 도심과 도심 사이의 운행을 목적으로 한 일종의 철도차량. 도시철도는 수송중량을 기준으로 중량전철과 경량전철로 구분되며 지하철은 중량전철로 구분된다. 반면 경량전철은 차량이 작으며 도시철도 시스템 중에서 자동화된 차량운반방식을 기존 궤도철도 시스템에 맞게 적용한 방식이다. 경전철의 종류는 리니어 모터카, 모노레일, 디젤엔진과 전기를 병용하는 이중 동력궤도 정지버스로 나눌 수 있다. 또 전차와 같이 레일 위를 달리는 레일식과 버스와 같은 형태의 고무바퀴식으로 구분하기도 한다. 수송용량이 지하철과 버스의 중간 규모로 선진국에서는 1980년대 이후 본격 실용화됐다. 기존 도로변이나 도로 위에 건설할 수 있어 건설비용이 지하철에 비해 저렴하다.

  • 기업하기 좋은 나라[The Best Countries for Business]

    미국의 경제전문지 포브스가 전 세계 120여개국을 대상으로 물가, 실업률, 조세, 기업인 ...

  • 국민취업지원제도

    저소득 실업자, 청년, 경력단절 여성 등 취업 취약계층(15~69세)에게 취업지원서비스를 ...

  • 객장

    증권회사의 영업소 내에 있는 일정한 장소로서 투자고객이 모이는 곳을 말한다. 객장에는 투자...

  • 공무원 민간근무휴직제

    민·관 인사교류를 통해 공무원 사회에 민간기업의 경영기법과 업무 수행 방법 등을 도입하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