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경전철

 

경량전철의 줄임말로 도심과 도심 사이의 운행을 목적으로 한 일종의 철도차량. 도시철도는 수송중량을 기준으로 중량전철과 경량전철로 구분되며 지하철은 중량전철로 구분된다. 반면 경량전철은 차량이 작으며 도시철도 시스템 중에서 자동화된 차량운반방식을 기존 궤도철도 시스템에 맞게 적용한 방식이다. 경전철의 종류는 리니어 모터카, 모노레일, 디젤엔진과 전기를 병용하는 이중 동력궤도 정지버스로 나눌 수 있다. 또 전차와 같이 레일 위를 달리는 레일식과 버스와 같은 형태의 고무바퀴식으로 구분하기도 한다. 수송용량이 지하철과 버스의 중간 규모로 선진국에서는 1980년대 이후 본격 실용화됐다. 기존 도로변이나 도로 위에 건설할 수 있어 건설비용이 지하철에 비해 저렴하다.

  • 고용유지지원금[雇用維持支援金]

    경영난에 처한 기업이 해고대신 근로시간 감축, 유급 휴직 등을 통해 직원에게 수당을 지급하...

  • 국제의료

    외국인환자 유치와 의료사업 해외진출 등 국내외 외국인환자를 대상으로 한 보건의료서비스와 관...

  • 기초위험액

    영업과정에서 발생하는 사고, 위법등으로 증권회사가 입을 수 있는 손실위험액을 계량화한 것

  • 감액보험

    당초 계약한 보험기간과 보험금의 지급조건이 바뀌지 않은 상황에서 보장금을 낮추는 상품 형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