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전자투표제

[electronics voting]

주주가 컴퓨터나 스마트 폰등을 통해 의결권 등을 행사하는 온라인 투표방식. 주총장에 출석하지 않고도 인터넷에 접속해 특정 안건에 찬반을 표시함으로써 의결권을 행사한다. 전자투표제는 2010년 5월부터 시행됐지만 기업이 자유롭게 채택 여부를 결정하도록 했다. 그런데 2013년 6월말현재 상장사 중엔 이 제도를 도입한 곳은 한 곳도 없다.
전자투표제 찬성론자들은 인터넷 투표를 이용해 소수주주의 의결권 행사를 활성화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재계는 전자투표제가 의무화되면 투기자본 등의 악의적 루머 공격 때 투표 쏠림이 나타나 경영권 방어가 어려워질 가능성이 있다고 걱정하고 있다.

  • 직무평가[job evaluation]

    직무분석을 통해 작성된 직무명세서에 의해 기업내 각종 직무의 숙련(노력)책임 정도, 직무수...

  • 제3자 단가계약

    수요기관에서 공통적으로 소요되고 신속 공급이 필요한 물자의 제조, 구매 및 가공 등의 계약...

  • 재정절벽[fiscal cliff]

    집행하던 예산이 갑자기 삭감돼거나 중단되어 경제전방에 심각한 타격을 주는 현상을 말한다. ...

  • 중간배당제

    결산기의 중도에 배당을 하는 행위, 또는 그 배당을 말한다. 1998년 말 개정된 상법에서...